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우조선, 兆단위 해양설비 7년만에 수주…造船의 진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총 사업비 2.6조 브라질 FPSO…伊업체와 함께 수주
지난달에 한국조선도 싱가포르와 2.5조원대 1기 따내
국내 업체들 대규모 프로젝트 잇단 쾌거…수가도 오름세

대우조선, 兆단위 해양설비 7년만에 수주…造船의 진격
AD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글로벌 경기 회복세와 함께 환경규제에 따른 선박 발주가 늘면서 국내 조선사들이 조 단위 프로젝트를 잇따라 따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14일 브라질 에너지기업 페트로브라스가 발주한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를 이탈리아 엔지니어링업체 사이펨과 함께 수주했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 2조6000억원짜리 프로젝트로 대우조선해양의 계약금액은 1조948억원이다.


이번에 수주한 FPSO는 하루 18만배럴의 원유와 720만㎥의 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 원유 저장용량은 200만배럴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원유를 저장할 수 있는 선체와 상부구조물 일부를 만든다. 사이펨에서 건조하는 상부구조물을 받아 옥포조선소에서 최종 탑재, 2024년께 발주처에 인도키로 했다. 세계 최대 규모 유전 가운데 하나인 브라질 부지오스 필드에서 일한다. 대우조선의 해양설비 수주는 2019년 이후 2년여 만이다. 조 단위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한 건 2014년 3조원 규모 원유생산설비 이후 7년 만이다.


앞서 한국조선해양도 싱가포르 케펠과 함께 페트로브라스의 FPSO 1기를 지난달 수주했다. 2조5000억원 규모 프로젝트로 한국조선해양이 맡은 선체 부분 공사는 8500억원 수준이다. 페트로브라스는 그간 프로젝트를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재개했는데, 두 프로젝트(P-78, 79)에서 한국 조선업체가 잇따라 일감을 따냈다. 페트로브라스는 차기 프로젝트(P-80)도 검토 중인데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도 입찰자격을 얻어 참여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 兆단위 해양설비 7년만에 수주…造船의 진격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FPSO)


해양설비는 적게는 수천억 원, 대형 프로젝트는 수조 원대에 달한다. 규모가 상당해 일감 확보 차원에서 대형 조선사도 눈독을 들이지만 저유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수년째 주문이 끊긴 상태였다. 앞서 2010년대 들어 국내 조선사가 앞다퉈 경쟁하며 수주했을 당시에는 수익성 논란이 불거진 적도 있다. 최근 들어 원유 수요가 다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유가가 오름세로 돌아선 터라 글로벌 석유메이저를 중심으로 다시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중하순 배럴당 10달러 안팎까지 떨어졌던 국제유가는 최근 70달러 선까지 올라왔다. 최근 2년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앞서 올해 1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얀마 가스전 개발에 투입할 해양플랜트 공사계약 역시 한국조선해양이 따낸 적이 있다. 페트로브라스 역시 2030년까지 현재 운영중인 FPSO 4기 외에 추가로 8기를 더 투입하기로 한 상태다. 여기에 카타르의 유전개발 프로젝트(갈라프 3단계), 나이지리아의 봉가 프로젝트 등 굵직한 프로젝트에서도 국내 조선사가 참여해 수주를 앞뒀거나 유리한 고지에 올라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대우조선, 兆단위 해양설비 7년만에 수주…造船의 진격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FPSO)


전 세계 물동량이 늘어난 데다 환경규제 강화로 신규 선박 주문도 2008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다. 조선해운시황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전 세계 누적 수주량은 1907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9% 늘었다. 한국 조선사의 수주량은 832만CGT로 전년 대비 7배가량 늘었다. 2008년(1~5월 967만CGT) 이후 13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수주잔량이 쌓이면 선가 오름세도 확연해진다. 건조작업을 할 야드가 채워지면서 조선업계 입장에서도 주문을 가려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36.1로 2014년 12월(137.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