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코로나에도 작년 국민 세금·연금·보험료 부담 커졌다…1인당 1019만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019년보다 0.8% 증가…총 국민부담액 528조·국민부담률 27.4%

코로나에도 작년 국민 세금·연금·보험료 부담 커졌다…1인당 1019만원
AD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지난해 코로나19 위기로 경제가 가라앉는 와중에도 국민들이 부담한 세금, 연금, 보험료 부담액은 한 해 전보다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1019만원을 냈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각 기관으로부터 받은 국세, 지방세(잠정치), 사회보장기여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민부담액은 527조7000억원이었다. 2019년 523조4000억원보다 0.8% 증가했다. 국민부담액은 조세총액과 사회보장기여금 등 국민이 나라에 낸 돈을 합해 계산한다. 조세총액은 국세와 지방세로 구성되며, 사회보장기여금에는 4대 공적연금(국민연금·공무원연금·군인연금·사학연금)과 보험(건강보험·고용보험·산업재해보험·노인장기요양보험)의 기여금·보험료가 포함된다.


지난해 조세총액은 377조7000억원이었다. 국세가 285조5000억원, 지방세가 92조2000억원이다. 코로나19 위기 여파로 지난해 조세총액은 2019년의 384조원보다 1.6% 줄었다. 반면 사회보장기여금은 150조원으로 전년(139조4000억원)보다 7.6% 늘었다. 건강보험이 62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이 51조20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국민부담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국민부담률은 27.4%로 전년(27.3%)보다 0.1%포인트 올랐다.


총 국민부담액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상 지난해 인구 수(5178만1000명)로 나눈 '1인당 국민부담액'은 1019만997원으로, 전년 1012만2029원보다 0.7% 늘었다. 1인당 조세부담액이 729만4181원, 1인당 사회보장기여금 부담액이 289만6815원이었다.


추 의원은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과 중기지방재정계획, 국회 예산정책처 4대 공적연금 장기재정전망, 연금·보험 관련 각 기관 전망 등을 통해 2024년까지의 국민부담액 추이도 분석했다. 총 국민부담액과 국민부담률, 1인당 국민부담액은 향후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총 국민부담액은 지난해 527조7000억원에서 올해 553조7000억원, 내년 580조5000억원으로 늘어난다. 2023년에는 608조6000억원으로 처음 600조원을 돌파한 뒤 2024년 632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부담률도 작년 27.4%에서 올해 27.6%, 내년 27.8%, 2023년 28.1%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2024년에는 28.0%로 내려갈 전망이다. 1인당 국민부담액은 지난해 1019만원에서 올해 1068만원, 내년 1120만원, 2023년 1173만원, 2024년 1218만원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추 의원은 "현 정부 들어 급속히 늘어난 국가채무에 더해 전 국민의 조세·준조세 부담까지 빠르게 늘고 있다"며 "미래 청년세대는 빚과 세금 속에서 허덕이게 생겼다"고 지적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