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동시각] 자발적 ESG를 위하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초동시각] 자발적 ESG를 위하여
AD


ESG 바람이 불고 있다. 어디서나 이 말을 들을 수 있다. 이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영어로 줄인 말이다. 기후변화 등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적으로 물의가 될 만한 방법으로 이익을 추구하지 않으며 합리적 수준의 지배구조로 기업 활동을 하는 등의 행동을 통틀어 ESG라 한다. 기존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이 담배, 도박 등의 업종에 투자를 하지 않는 등의 네거티브 포지셔닝 방식의 개념이었다면 ESG는 기후 변화를 고려하는 기업에게 더 이득을 주는 포지티브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결국 ESG는 기업의 이익 그러니까 재무적 요소만이 아니라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해 좋은 기업 활동을 추구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ESG는 2020년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국의 블랙록을 운용하고 있는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CEO)가 기후 위기를 주요 고려 요인으로 보겠다며 연례 서한을 보내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주주의 권한으로 기업이 ESG 대응하도록 실제적 행동에 나선 것이다. 블랙록은 우리나라 기업에게도 ESG 관련 주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블랙록이 ESG 관련 주주제안 표결에 참여한 한국 기업은 27곳이다. 2019년 12개사의 2.3배에 이른다.


국내 금융투자 업계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에 발맞춰 ESG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전체 펀드에 ESG 등급 BB 종목 비중을 70% 이상 담기로 했다. ESG운용사를 표방하고 있는 이 회사의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ESG 등급을 충족해야 하는 것이다.


기업들도 이 같은 변화에 순응하고 있다. 자산총액 기준 국내 10대 그룹 중 삼성, 현대차, SK, 롯데, 포스코, 한화, GS 등이 ESG위원회를 설치했다. ESG 훈풍이 경제계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한 수를 놓으면서 이 바람의 온도가 차가워졌다. 정부는 올 하반기 한국형 ESG(K-ESG) 지표를 내놓겠다며 2030년부터는 ESG 정보 의무 공시제도 시행한다고 했다. 사실 국내외 600여개나 되는 ESG 지표가 중구난방 격으로 기업을 평가하고 천차만별의 결과를 내놓다 보니, 정부가 ‘공인 지표’를 만들겠다고 나선 것이 잘못됐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시장에서 자발적으로 ESG 열풍이 불고 있는데 정부가 나서면서 민간의 어깨가 움츠러드는 상황이 됐다.



벌써부터 'ESG 규제'라는 얘기가 나온다. 이제 ESG에 눈을 뜨고 걸음마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선을 그어 놓고 뛰게 만드는 꼴이 됐다는 것이다. 이 지적에는 힘이 실린다. 만약 이 지표에 힘이 떨어지면 600여개 지표와 다를 바 없게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기업들을 ESG 생태계로 끌어오기 위한 지원책을 냈다면 어땠을까. 코로나19로 여파로 허덕이는 기업들에게 ESG 바람도 찬바람이 될까 우려스럽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