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라임라이트]'서복' 공유, 시한부와 관찰자 사이 어딘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여러 장면 촬영되지 못하거나 편집…요점만 간략하게 나타나 아쉬워"
"시한부 인생 온전히 이해하는 데 한계…노골적인 대사? 걱정되긴 해"

[라임라이트]'서복' 공유, 시한부와 관찰자 사이 어딘가
AD


영화 ‘서복’에서 민기헌(공유)과 서복(박보검)은 정보국에 쫓기는 신세다. 서복은 줄기세포 복제와 유전자 조작으로 만들어진 복제인간. 시한부 인생인 민기헌에게 한가닥 남은 희망이다. 그들은 바닷가로 피신한다. 서복은 태연한 표정으로 묻는다.


"죽음이란 뭔가요?" "영원하다는 건 뭔가요?" "죽는 게 두려운가요?“


대충 얼버무리는 민기헌. 하지만 "사는 건 좋았어요?"라는 물음만큼은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 아픈 과거를 떠올리며 괴로워한다.


"좋을 때도 있었고, 안 좋을 때도 있었고. X 같았을 때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건 확실하고. 그러고 보니까 헷갈린다. 내가 살고 싶은 건지, 아니면 죽는 게 무서운 건지. 이젠 나도 모르겠다. 그래서 너무 후회돼."


이용주 감독은 "살고 싶은 의지와 죽음에 대한 공포가 결국 같다는 걸 보여주려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선 두 가지 다른 결이 균등하게 그려져야 한다. 배우 공유가 연기한 민기헌은 전자에 과도하게 쏠려 있다. 우락부락 그늘지게 신경질적이다. 후자는 중반까지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재래시장 등지에서 서복과 티격태격하며 웃음을 자아낸다.


[라임라이트]'서복' 공유, 시한부와 관찰자 사이 어딘가


공유는 "민기헌이 느낄 고통에만 집착했다"라고 고백했다. "아픈 사람을 적나라하게 표현하면 모든 게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러 장면이 촬영되지 못하거나 편집됐다. 죽음을 선고받고 두려움에 떠는 얼굴이나 몸에 좋은 약을 한꺼번에 삼키는 모습 등이다. 요점만 간략하게 나타나 아쉽다."


민기헌이 삶에 의욕을 보이는 이유는 단순하다. 눈앞으로 다가온 죽음. 살아남아 해결할 과제도, 누군가에 대한 미련도 없다. 오히려 동료 요원을 죽음에 이르게 한 죄책감으로 괴로워한다. 목숨을 연명해도 희망이 없을 것 같다.


공유는 "일반 관객이 민기헌의 설정을 수렴하기 어려울 수 있다"라고 말했다. "나조차 시한부 인생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 한계를 느꼈다. 내가 상상하는 범위 안에서만 표현할 수 있었다. 이용주 감독이 들려준 많은 이야기마저 정답이라고 단정할 수 없겠더라. 다만 누구나 본능적으로 삶에 강한 의욕을 드러내는 순간은 있을 것 같았다. 민기헌과 같은 상황에 놓인다면 더욱…."


[라임라이트]'서복' 공유, 시한부와 관찰자 사이 어딘가


특수한 설정은 서복을 관객에게 보여주는 민기헌의 관찰자적 기능도 저해한다. 삶의 끝에 죽음이 있다는 것 말고는 동질감을 가질 구석이 없는 까닭이다. 시한부 인생이 아니더라도 영생하는 서복과 대조는 이 영화의 주제를 분명히 할 수 있다. "죽는 게 두려운가요?" 같은 노골적인 대사들이 흘러넘쳐 과유불급을 피할 수는 없었겠지만….



"민기헌은 서복을 필요로 하면서도 순수하게 받아들인다. 그래서 가능한 대화라고 생각했다. 걱정되긴 했다. 시나리오를 처음 읽었을 때도 멱살 잡히는 느낌을 받았으니까. 스스로 질문을 던질 새가 없어 민기헌이 느끼는 감정에만 충실했던 것 같다. 지금도 영화가 던지는 질문에 명확히 대답할 자신은 없다. 과연 인간이 명쾌한 답을 얻을 수 있을까? 잡생각이 많아진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