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구성·효율’ 2마리 토끼 잡은 획기적 태양전지 물질 탄생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UNIST·에너지硏 공동연구, 태양전지 효율 극대화 물질 개발
불소로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수분 취약성 해결
논문으로 보고된 최고 효율 기록·내구성 입증

‘내구성·효율’ 2마리 토끼 잡은 획기적 태양전지 물질 탄생했다 유기층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유니스트 제공]
AD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태양전지의 내구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잡는 획기적인 물질이 개발돼 학계와 산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물질이 개발된 것이다.


이 물질은 그동안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걸림돌이었던 수분 취약성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물질을 쓴 전지는 지금까지 논문으로 보고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 최고 수준의 효율(24.82%)을 기록했다.


수분 안정성과 효율을 동시에 잡은 획기적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인 Science지에 9월 25일 자로 온라인 공개됐다.


이번 연구로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가 크게 앞당겨질 전망이다.

‘내구성·효율’ 2마리 토끼 잡은 획기적 태양전지 물질 탄생했다 (뒷줄 오른쪽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UNIST 곽상규 교수, 양창덕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동석 박사, 최인우 연구원, UNIST 정민규 연구원, 고은민 연구원. [유니스트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용훈 총장)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김종남 원장)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활성 층이 수분에 노출되는 것은 막으면서 전지 효율을 높이는 ‘유기 정공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정공수송층은 광활성층이 빛을 받아 만든 정공(양전하 입자)을 전극으로 나르는 역할을 하는 태양전지 구성 층이다.


공동연구진은 기존 정공수송층(Spiro-OMeTAD, 스파이로 구조를 갖는 물질)의 수소를 불소로 바꿔 성능이 좋으면서도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정공 수송층 물질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팀은 ‘불소 도입’이라는 간단한 방식으로 정공 수송 층과 광활성 층을 안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발된 정공 수송층 물질은 기존 정공 수송 층의 우수한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기름처럼 물과 섞이지 않는 성질(소수성)이 강해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다.


기존 정공 수송 층이 대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문제를 해결해 전지가 높은 효율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개발된 물질을 태양전지 정공수송층으로 써 24.82% (공인인증 결과 24.64%)의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얻었다.


또 수분 안정성이 해결돼 500시간 동안 고습도 환경에서도 87% 이상의 효율을 유지했다.


반면 기존물질을 정공수송층으로 사용했을 경우 500시간 후 40%이상 효율이 감소했다.


특히 공인 인증된 전지의 경우 1.18V의 높은 개방 전압을 보였다. 이는 페로브스카이트 전지가 이론적으로 만드는 전압에 최대로 근접한 수치다.


개방 전압이 높을수록 전력(전력=전압x전류) 생산량이 많아지고 태양전지의 효율이 높아진다.


전지제조를 담당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동석 박사는 “현재까지 보고된 전압 손실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인 0.3V의 전압손실(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기준)로 이론치에 근접한 개방 전압을 얻었다”고 말했다.


또 “전지를 대면적(1cm2)으로 제작해도 효율(22.31%)의 감소가 적어 상용화 가능성이 밝다”고 설명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상규 교수는 개발된 물질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이유를 이론적으로 분석했다.

‘내구성·효율’ 2마리 토끼 잡은 획기적 태양전지 물질 탄생했다 개발된 물질을 적용한 태양전지의 성능 비교 그림. [유니스트 제공]


곽 교수는 “분자 시뮬레이션 결과 개발된 물질은 광활성 층에 흡착됐을 때 기존 물질보다 정공 수송에 더 유리한 흡착 구조를 갖고, 물질 분자 간 정공 수송 효율도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이 물질을 개발한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는 “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유기 정공 수송층 개발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지속돼 왔지만, 이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어려웠다”고 밝혔다.


양 교수는 “그동안 양립하기 어려웠던 수분안정성과 효율 문제를 기존 스파이구조 물질에 불소 원자를 도입하는 방식을 통해 동시에 해결한 매우 획기적인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