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 내 한국산 점유율 8.5%, 2015년 이후 매년 하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유엔의 세관통계 데이터베이스인 유엔 컴트레이드(UN Comtrade) 무역통계를 분석한 결과 중국 전체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15년 10.4%에서 지속 하락해 작년에 8.5%로 줄어들었다고 18일 밝혔다.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의 시장점유율 역시 한국은 2016년 7.9%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 5.4%로 하락했다.


중국 내 한국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감소세였다. 재중 한국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2013년 7.3배를 정점으로 2017년 4.5배까지 하락했다.


영업이익률도 2013년 4.9%에서 2017년 3.8%로 낮아졌다.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는 지난해까지 반도체 단가급락, 스마트폰·승용차 판매부진이 계속되면서 시장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중국 내 한국산 점유율 8.5%, 2015년 이후 매년 하락"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AD


전경련은 향후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협상을 타결함에 따라 중국이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 구매를 확대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미국 공산품 수입액은 2017년 788억달러에서 2021년 1565억달러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고 수입비중은 2017년 9.1%에서 2021년 18.0%로 8.9%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시장점유율은 공산품뿐만 아니라 농산품, 에너지, 서비스 품목에서도 증가할 예정이어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공략이 더욱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중국은 지난해 말 1인당 국내총생산(GDP) 1만달러 시대에 접어들었고 중국 정부도 내수시장 개방을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지금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엄 실장은 "우리 기업들이 중국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기업을 벤치마킹해 중장기 전략을 다시 세워야 하고,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서플라인 체인의 다변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