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균관대·한양대 등 6개大, 국제협력선도대학 선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교육부, 3주기 사업단 선정결과 발표 … 연간 최대 4억원 지원

성균관대·한양대 등 6개大, 국제협력선도대학 선정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20년 국제협력선도대학 육성·지원사업'의 신규 사업단으로 공주대와 덕성여대, 서울과기대, 성균관대, 인제대, 한양대 등 6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국제협력선도대학 육성·지원사업은 국내 대학이 개발도상국가의 대학에 필요로 하는 학과 신설이나 리모델링, 교수 역량 강화, 지역사회 개발 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하는 교육부의 대표적인 고등교육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다. 지난 2012년 이화여대와 포항공대를 시작으로 올해까지 총 15개 대학이 13개 국가에서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고려대의 경우 우즈베키스탄의 환경 문제에 집중해 타슈켄트의대 '환경보건과학과'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환경보건 모니터링 연구, 공무원 대상 워크숍 등을 지원하고 있다. 서강대는 인도네시아 사나타다르마대의 화학교육과 신설을 지원, 현지 고등교육부의 관심과 협력대학의 자체 투자를 이끌어 냄으로써 교육 분야 공적개발원조에 있어 협력대학의 자립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우수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성균관대·한양대 등 6개大, 국제협력선도대학 선정

이번 2020년 신규 사업단 선정은 공모를 통해 지원한 국내 21개 대학에 대해 전문가와 원조 전문기관 관계자로 구성된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이뤄졌다. 선정된 신규 사업단 6개 대학은 3주기 사업 기본계획(2020~2023년)에 따라 현지 컨설팅과 중간 평가를 거쳐 앞으로 7년간 연간 1억~4억원의 예산을 지원받게 된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단의 협력국가에는 중남미 국가에서 처음으로 페루가 포함되고, 신남방국가 2개(캄보디아·라오스), 몽골, 스리랑카, 탄자니아 등 대륙별로 고르게 구성됐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개발도상국에 우리의 우수한 고등교육 시스템을 지원함으로써 국제사회에 우리 교육의 성과를 나누고, 교육을 통해 가난을 벗어난 우리의 경험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