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정은 "초대형방사포 정확도·정밀유도 최종검증" 추가 발사도 시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10일 발사체 시험 직접 현지지도
"무기체계 다음방향을 결정짓는 계기"
"이제 연발사격시험만 진행하면 될 것"
다만 "성공" 표현없어 미완성 가능성도

김정은 "초대형방사포 정확도·정밀유도 최종검증" 추가 발사도 시사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5일 '새로 연구 개발한 초대형 방사포'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로 시험발사에 성공했다며 이 사진을 공개했다.
AD


[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0일 초대형방사포시험사격을 또다시 현지지도했다고 북한 노동신문이 11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방사포 사격시험에 만족감을 표시하는 한편 연속발사 능력을 완성하기 위한 추가 발사를 시사했다.


신문은 "최고영도자동지께서는 초대형방사포의 전투전개시간을 측정해보시며 이번 시험사격에서 확증할 지표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요해하시였다"면서 두차례에 걸쳐 시험사격이 진행되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초대형방사포무기체계는 전투운영상측면과 비행궤도특성, 정확도와 정밀유도기능이 최종검증되였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앞으로 방사포의 위력상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되는 연발사격시험만 진행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 시험발사를 시사한 것이다.


이번 시험 발사에 대해 통신은 "또다시 진행된 초대형방사포시험사격은 시험사격목적에 완전부합되였으며 무기체계완성의 다음단계방향을 뚜렷이 결정짓는 계기가 되였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국방과학자들을 격려하고 국방과학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주문했다.


통신은 "최고영도자동지께서는 초대형방사포를 비롯한 우리 식 전술유도무기들의 생산을 최대로 끌어올리고 국방과학분야의 최첨단설정목표들을 계속 줄기차게 점령해나가는데서 나서는 당면한 과업과 방도들에 대하여 밝히시였다"고 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우리 식 초대형방사포무기체계개발사업에서 연속적이며 기록적인 성공을 안아오고있는 국방과학연구부문의 지도간부들과 과학자, 기술자들의 열렬한 애국심과 당에 대한 충성심을 높이 평가한다고 하시면서 그들에게 뜨거운 감사를 주시였다"고 전했다.


다만 이번 보도에서 사격시험이 '성공했다'는 직접적 표현은 등장하지 않아,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지난달 24일에도 북한은 초대형방사포를 발사했는데, 그 이튿날에는 북한 매체들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강조했었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 두 발 중 한 발은 내륙에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당초 북한 내륙을 가로질러 동해상의 섬을 목표로 발사한 발사체가 내륙에 떨어지는 바람에 이번 발사가 '성공했다'는 언급이 빠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의 추가적 시험발사 언급은 '미완성'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는 셈이다.


이번 사격 시험에는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과 포병국장에서 총참모장으로 발탁된 박정천도 참석했다. 신문은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육군대장 박정천와 김여정, 조용원, 리병철, 김정식를 비롯한 당중앙위원회 간부들, 장창하, 전일호, 정승일를 비롯한 국방과학연구부문의 지도간부들이 시험사격을 함께 지도했다"고 전했다.


김정은 "초대형방사포 정확도·정밀유도 최종검증" 추가 발사도 시사 북한은 지난달 24일 '새로 연구 개발한 초대형 방사포'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성공적으로 시험발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5일 보도했다.



한편 합동참모본부는 10일 "우리 군은 오늘 오전 6시 53분경, 오전 7시 12분경 북한이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로 보이는 발사체를 쏜 건 지난달 24일 함경남도에서 동해상으로 '초대형 방사포'(단거리 탄도 미사일급)'를 발사한 지 17일 만이다. 올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벌써 10번째 발사에 해당한다.


이번에 발사한 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로 탐지됐다. 정점고도 50∼60㎞로, 개천에서 동북방 직선 방향으로 비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미 군 당국은 이 발사체의 정점 고도와 비행속도, 요격 회피 기능 여부 등을 정밀 분석하면서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을 앞두고 추가 발사할 가능성도 크다고 판단, 대북 감시를 계속 강화할 방침이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