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동창리 조립건물, 해체 전 위치로 돌아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최초 해체 시도 이후 8개월, 복구작업 본격화한 지 약 2주만…2차 북미정상회담 직전 원위치

北 동창리 조립건물, 해체 전 위치로 돌아가 지난 3월 2일과 6일 각각 촬영한 북한 동창리 서해발사장(사진=플래닛랩스/VOA 웹사이트 캡처).
AD


[아시아경제 이진수 선임기자] 지난달 중순부터 복구 조짐을 보인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발사장 내 이동식 건물이 8개월만에 원래 자리로 돌아간 것으로 확인됐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7일 보도했다.


최초 해체 시도 이후 8개월, 복구 작업을 본격화한 지 약 2주 만의 일이다.


VOA가 위성사진 서비스 '플래닛랩스(Planet Labs)'의 6일자 위성사진을 분석해본 결과 이 조립건물은 지난해 7월 옮겨졌던 발사장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80~90m 떨어진 지점에 자리잡고 있었다.


이는 조립건물이 해체되기 이전 있었던 곳으로 바로 옆에는 이동불가능한 주 처리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6일자 위성사진의 화질이 열악한 것은 동창리 일대를 뒤덮은 미세먼지 탓이다.


로켓 등 발사체를 수직으로 세워 발사대로 옮기는 이 조립건물은 지난해 7월 이후 줄곧 발사장 중심부에 위치해 있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소재 미들베리국제문제연구소 제임스마틴비확산연구센터(CNS)의 데이비드 슈멀러 연구원은 조립건물이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가 아닌 회담 직전 완성된 사실에 주목하며 "지난달 18~23일 각종 재료가 동창리 시설에 도착했으며 같은 달 26일 위성사진에서는 조립건물이 재조립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슈멀러 연구원은 "북한이 과거에도 폐기 약속한 시설을 일부만 해체한 뒤 협상에서 진전이 없으면 압박수단으로 활용해왔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동창리 시설도 일부만 해체됐고 정상회담 전 미국에 압박을 가하기 위해 복구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위성사진 분석가이자 군사전문가인 미 스탠퍼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의 닉 한센 객원연구원도 전체적인 복구가 매우 빨리 이뤄졌다는 데 큰 의미를 뒀다. 따라서 그는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의 그 어떤 것도 해체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北 동창리 조립건물, 해체 전 위치로 돌아가 2016년 2월 북한 동창리 서해발사장에서 지구관측 위성인 '광명성 4호'가 발사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북한은 2017년 11월 평양 인근 자동차 공장에 30m 높이의 구조물을 설치한 바 있다. 이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 발사차량에 탑재하는 데 쓰였다. 구조물이 완성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3일에 불과했다.


이 시설은 지난해 3월 해체된 것으로 관측됐다. 그러나 한 달 뒤 재건된 사실이 민간위성에 포착됐다. 그러던 중 지난해 7월 다시 해체됐다.



그러나 한센 연구원은 "북한이 언제든 다시 지을 수 있도록 조립시설 구조물을 어딘가에 보관해 놓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진수 선임기자 comm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