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후 한 詩]패배/허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학창 시절 주먹다짐에서 나한테 졌던 친구가
갑자기 죽었을 때
그 옛날 난
이긴 것이 아니라 진 것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갓집에서 육개장을 앞에 놓고
맥없이 젓가락의 키를 재면서
눌러도 눌러도 고개를 드는 이제는 흑백이 된 죄책감에 대해
생각했다
(지금도 잊지 못하니 내가 진 것이지)

머리를 흔들며 혼자 미안해하다
다시 영정 사진을 올려다봤다
속엣말로
사실은 내가 졌다고
독한 척했던 내가 사실은 더 겁쟁이였다고 털어놓았다


아직 앳된 상주의 어깨를 다독이고
상갓집을 걸어 나오다
절대적으로 흘러가 버린 시간들을 떠올렸다

그때 친구의 얼굴 표정이 지금도 기억이 난다
기세등등한 나를 올려다보던
영양의 눈빛.


상갓집을 나와 걷는 길
등 뒤에선 찬바람이 오고
기억들은 나비 떼처럼
보도블럭 위를 날아다니고 있었다


[오후 한 詩]패배/허연
AD


■주먹다짐까지는 아니더라도 누구나 어릴 때 친구와 다투었던 적이 있을 것이다. 물론 대개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금세 깔깔거리면서 어깨동무를 하고 동네를 뛰어다녔겠지만, 간혹은 미안하다는 말도 하지 못한 채 "눌러도 눌러도 고개를 드는 이제는 흑백이 된 죄책감"으로만 남은 경우도 없지 않을 것이다. 도대체 그때 왜 그랬을까? 아무리 후회하고 자책한다 한들 "절대적으로 흘러가 버린 시간"은 결코 되돌릴 수가 없다. 게다가 친구가 죽어 버리기까지 했으니, 시인의 "죄책감"은 이제 영영 갚을 길 없는 부채가 된 셈이다. 니체가 말했듯이 윤리는 빚진 자의 것이다. 이 시에 적힌 단어들("기억"-"들")을 더하여 말하자면, 윤리의 출처는 자신이 잘못한 바에 대한 지속적인 기억하기다. 자신의 죄를 끊임없이 기억하는 자만이 비로소 윤리적인 인간으로 탈피("나비")할 수 있다. 채상우 시인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