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주 열암곡 마애불, 1557년 지진으로 고꾸라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주 열암곡 마애불, 1557년 지진으로 고꾸라져"
AD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경주 남산 열암곡에 쓰러져 있는 통일신라 마애불상이 조선 명종 12년인 1557년에 넘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주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주변을 정비하고 실시 설계한 결과 불상이 당시 6.4 규모의 지진으로 쓰려졌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10일 전했다. 건설기술연구원은 중간 보고에서는 넘어진 시기를 1430년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어진 추가 실험에서 100여 년 뒤 일어난 지진의 영향이 유력하다고 봤다. 축조된 시기는 인근에서 발견한 토기 연도로 미루어 8세기 후반으로 판정했다.

건설기술연구원은 이달 안에 관련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마애불상 정비·보존관리 방안, 불상 활동방지 시설, 보호각 및 관람환경 조성, 비탈면 안정성 확보 실시설계 등이다. 경주시는 이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 불상 머리 안정화와 석축 보강, 보호각 교체 등을 거쳐 안전한 관람 환경을 마련할 방침이다. 불상을 다시 세울지 여부 등은 문화재청, 불교계 등과 논의해 결정한다.


이 불상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2007년 5월 열암곡 석불좌상(경북유형문화재 제113호) 일대를 조사하다가 발견됐다. 오뚝한 콧날과 아래쪽 바위 사이의 간격이 5㎝에 불과해 당시 화제를 모았다. 높이는 560㎝, 무게는 70∼80t에 달한다. 약 40도 경사로 고꾸라진 정확한 이유는 규명되지 않았다. 엎어진 관계로 풍화작용을 거의 겪지 않아 원형은 비교적 잘 보존됐다. 볼륨 있는 얼굴과 날카로운 눈매, 도톰한 입술, 좌우로 벌어진 발 등이다.

열암곡 마애불은 2007년부터 얼굴을 드러내기 위한 논의가 진행됐으나 거대한 크기 등으로 난항을 겪었다. 입불(入佛)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 90도로 돌려 와불(臥佛) 형태로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됐으나 이뤄지지 못했다. 건설기술연구원은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입불이 어렵고, 지반을 보강한 뒤 호이스트 크레인이라는 장비를 이용하면 마애불을 세울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호이스트 크레인으로 입불을 하기 전 안전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실험은 예산으로 24억원이 소요돼 포기했다. 일단 불상에 안전시설을 설치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상태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