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페이스]외계생명체 '콘택트(Contact)'…"왜 없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6초

앨런 스턴 박사 "대양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스페이스]외계생명체 '콘택트(Contact)'…"왜 없지?" ▲거대한 바다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토성의 얼음위성 엔켈라두스.[사진제공=NASA]
AD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광활한 우주에서
생명체 유영하는
그곳과 접속하는

<#10_LINE#>
우주의 크기를 봤을 때 지구 문명 이외에 약 100만 개의 문명이 있어야 한다는 게 수학 방정식의 결과이다. 태양계는 물론 다른 항성계가 우주에 수두룩하다. 우주에는 수천 억 개의 은하가 존재한다. 각 은하에는 수천 억 개의 별이 있다. 이를 수치화해 보면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최소한 100만 개의 외계 문명이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계산상으로는 이 같은 결과물을 내놓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아직 지구 생명체들이 외계 문명과 접촉한 사실은 공식적으로 없다. 지구가 아닌 수백만 개의 문명이 있을 텐데 '그들은 그렇다면 어디에 있는 걸까?'라는 역설. 이를 '페르미 역설(Fermi Paradox)'이라 부른다.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가 말한 내용이다.


이를 두고 우주과학자들의 '상상력'이 펼쳐진다. 외계 생명체는 존재하는데 아직 지구의 과학적 기술이 이들과 '접촉'할 수 있는 단계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이들이 있다. 새로운 우주망원경과 원거리 통신망이 구축되면 외계 생명체와 연락할 수 있다고 보는 전문가도 있다. 우주과학자들에게 가장 흥미로운 주제이자 풀지 못하는 수수께끼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외계 문명이 어떻게 이뤄져 있을 것인가라는 부분이다. 지구 문명과 비슷한 문명일까. 아니면 전혀 다른 생명체일까. 지적 수준은 우리보다 훨씬 앞서 있을까. 그것도 아니라면 아직 지적 생명체가 아닌 미생물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일까.


인류는 지금 우주의 5%도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외계 문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한계는 뚜렷하다. 한 가지 예만 보더라도 이는 확인된다. 인류가 만든 우주선 중에서 현재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게 1977년 발사한 보이저1호이다. 지구로부터 약 140AU 떨어져 있다. 1AU는 태양과 지구의 거리인 1억5000만㎞이다. 140AU는 약 210억㎞에 해당된다.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약 4.37광년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이다. 1 광년은 빛이 1년 동안 달리는 거리로 약 10조㎞이다. 4.37 광년은 43조7000억㎞를 의미한다. 인류가 40년 전에 발사한 보이저 1호가 이제 210억㎞ 정도 날아갔다. 1년에 약 5억2000만㎞를 비행한 셈이다. 이 속도로 '알파 센타우리'에 도착하려면 보이저 1호는 약 8만 년이 걸린다. 광활한 우주를 알기에는 인류의 과학적 수준은 아직 초보 단계에 있는 셈이다.


외계 생명체와 '접촉'이 늦어지는 것을 두고 '얼어붙은 대양'이 그 원인일 수 있다는 가설을 내놓은 전문가가 나왔다. 앨런 스턴(Alan Stern) 사우스웨스트연구소(Southwest Research Institute) 행성과학자는 "외계 문명과 접촉이 생각보다 더 지연될 수 있다"며 "대부분의 외계천체 생명체들은 그들 고향 행성의 대양 깊숙한 곳에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지가 이 같은 내용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최근 우주과학 분야에 있어 가장 주목받는 것은 '대양'의 발견이다. 태양계에서도 생각보다 많은 대양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목성의 유로파, 토성의 엔켈라두스는 물론 심지어 명왕성에서도 물의 존재 여부가 증명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차세대 우주개발 계획으로 유로파와 엔켈라두스 탐험을 꼽고 있다.


지표면은 얼어붙었는데 그 아래에는 열수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열수현상은 주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과학자들은 생명체 탄생이 이 열수현상 때문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노출된 환경보다는 지표면의 두꺼운 얼음이 이들을 보호하면서 보다 생산적 생명체 양육 시스템이 갖춰져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지구 대양의 밑바닥에서 일어나는 것과 비슷하다.


앨런 스턴 박사의 가설은 외계 생명체가 아직 미생물 수준에 머물러 있을 것으로 본 셈이다. 대양에서 자라고 있는 유기체는 지구에서처럼 언젠가는 지능 생명체로 진화할 것으로 스턴 박사는 내다봤다. 스턴 박사는 "내가 제안하는 것은 새로운 증거 자료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다"라며 "외계 천체에는 생각보다 많은 대양이 존재하고 이 때문에 외계인 신호를 받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외계생명체 '콘택트(Contact)'…"왜 없지?" ▲목성의 달 유로파에서 여러 차례 물기둥이 솟는 것이 확인됐다.[사진제공=NASA]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