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면세시장 지각변동⑤]사드·비리로 얼룩진 면세업계…국감 '핵이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정부 차원에서 피해 현황부터 조사해야"
업체들 실질적 지원책 요구 봇물


[면세시장 지각변동⑤]사드·비리로 얼룩진 면세업계…국감 '핵이슈'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달 23일 신세계면세점 명동점의 '후' '설화수' 매장 부근. 과거 다른 쇼핑객들 통행을 방해할 정도로 북적였던 모습은 온데간데없다.(사진=오종탁 기자)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면세점업계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피해가 장기화하면서 정부 정책 지원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쟁점으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면세점업체들은 최근 사드 피해를 호소하며 정부와 정치권에 제도 개선·보상 등을 촉구하고 있다.


사드 직격탄을 맞은 업계 1위 롯데면세점은 현재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면세점 임대료 인하 협상 중이다. 국감을 앞두고 롯데면세점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수민 국민의당 의원 측에 "협상이 불가능할 경우 인천공항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사드 피해로 적자에 시달리는 와중에 높은 임대료를 계속 감당할 순 없다는 입장이다. 롯데가 사업권 포기를 선언한다면 다른 업체들도 인천공항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한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인한 우리 기업 피해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도 정부 고위 관계자가 '기업의 경쟁력 부족'을 탓하는 등 정확한 판단조차 못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에 일단 전반적인 면세업계 사드 피해 현황부터 파악하라고 일갈했다. 그는 "피해 규모 데이터가 각 경제연구기관마다 제각각인데 주무 부처인 산업부는 이를 방관하고 뒷짐만 지고 있다"며 "늦었지만 얼른 정부 차원에서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고 밝혔다.

[면세시장 지각변동⑤]사드·비리로 얼룩진 면세업계…국감 '핵이슈' 지난달 23일 롯데면세점 본점 화장품 코너.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전보다 손님이 많이 줄었다.(사진=오종탁 기자)


면세점업체들은 실태 파악은 물론 그 다음 단계의 지원책도 속히 가동되길 바라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외교 문제인 한반도 사드 배치로 엄청난 피해를 겪고 있는데 피해 보상 얘기는 한 차례도 나오지 않았다"며 "보조금 등 실질적인 지원책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더 나아가 정부가 기본적인 감시 역할만 하고 나머지는 시장 자율 경쟁에 맡겨야 된다"며 "특허권을 손에 쥐고 감 내놔라 배 내놔라 하는 행태를 그만 둘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관계자도 ▲특허 수수료 현실화 ▲특허 기간 자동 연장 ▲입국장 인도장 신설 ▲면세 한도 인상 ▲인천공항 임대료 인하 등 종합 대책이 나와야 면세업계가 고사 위기를 탈피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면세시장 지각변동⑤]사드·비리로 얼룩진 면세업계…국감 '핵이슈'



롯데면세점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2조5530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326억원에서 74억원으로 96.8% 급감했다. 롯데면세점 1분기 영업이익이 372억원이었음을 감안하면 2분기에 298억원 적자를 본 셈이다. 2위 신라면세점의 상반기 매출은 1조7182억원 규모로 지난해보다 3.0%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431억원에서 249억원으로 42.1% 감소했다. 신세계면세점을 운영하는 신세계디에프는 1분기 16억원, 2분기 44억원 등 상반기 60억원 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이 밖에 대다수 신규면세점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편 보따리상들이 원하는 상품은 롯데·신라·신세계 등 대기업 면세점에서 재고를 구하기 쉬운 경우가 많다. 중소·중견 업체는 더욱 극심한 적자에 빠질 수밖에 없다. 지난달엔 사드 사태 이후 면세점 중 처음으로 평택의 하나면세점이 폐업하기도 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면세점업계의 기업구분별 매출액 점유율을 살펴본 결과 대기업이 89.2%(6조9430억원)에 달하는 반면 중소·중견기업은 6.8%(5254억원)에 불과했다. 사드 이슈가 불거지기 전인 지난해(87.8%)에 비해 대기업 매출액 점유율이 더 높아졌다. 중소·중견기업 점유율은 지난해(7.8%)보다 1%포인트 감소했다.


김 의원은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중견 면세점 피해도 심하다"며 "정부가 면세점 사업 특허권만 주는 게 아니라 중소·중견 기업이 사드와 같은 외교·안보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