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화방지에 고등어가 최고" 경기보건환경硏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는 생선 가운데 '고등어'가 셀레늄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셀레늄은 노화속도를 지연시키는 항산화효과가 높은 물질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삼치, 대구, 꽁치 등 620여건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등어의 셀레늄 함량이 0.66 mg/kg으로 가장 높았다.

고등어에 이어 우럭(0.54 mg/kg), 방어(0.49 mg/kg), 삼치(0.42 mg/kg), 조기 (0.42 mg/kg), 청어(0.39mg/kg), 가자미(0.36 mg/kg), 대구(0.35 mg/kg), 꽁치(0.34 mg/kg), 아귀(0.33 mg/kg) 순이었다.


"노화방지에 고등어가 최고" 경기보건환경硏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소속 연구원이 실험결과를 살펴보고 있다.
AD

고등어는 껍질 안쪽 붉은 살 부위의 셀레늄 함량이 평균 0.76 mg/kg으로 흰살 부위 0.54 mg/kg보다 40%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78년 세계보건기구(WHO)가 필수영양소로 지정한 셀레늄은 1일 섭취 권장량이 성인 기준 50~200㎍이다. 과산화질 분해제거와 활성산소 제거로 항산화 효과, 심장기능 향상, 심근 퇴행성 질환과 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고등어에서 검출된 중금속은 납(Pb) 0.05 mg/kg, 카드뮴 0.01mg/kg 및 수은(Hg) 0.04 mg/kg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금속 허용기준치인 납(0.5 mg/kg), 카드뮴(0.2 mg/kg) 및 수은(0.5 mg/kg)보다 낮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고등어는 양질의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필수미네랄인 셀레늄의 함량도 높아 노화를 방지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는 대표적인 웰빙식품"이라고 설명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