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노동청 17일간 6138건 접수·상담…"국민의 소리 귀담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고용부, 11월 초 '현장노동청 성과보고대회' 개최

현장노동청 17일간 6138건 접수·상담…"국민의 소리 귀담아"
AD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고용노동부가 노동행정 관행·제도 개선 관련 대국민 의견을 수렴·반영해 근로감독행정을 혁신하고 노동존중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지난 12일부터 운영한 현장노동청이 28일 막을 내렸다.


그 동안 국민들은 임금체불, 산업재해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고용부를 방문해 사후에 이를 해결해 왔으나, 현장노동청은 국민들이 바라는 노동행정에 대한 의견을 듣고 이를 반영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노사분규, 산재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운영됐다.

개청식 첫날 64건을 시작으로 하루 200∼300백건의 제안·진정서가 접수되는 등 많은 국민들이 현장노동청에 관심을 보였다.


주말을 포함한 지난 17일 동안 현장노동청에 3100건의 제안·진정서가 접수됐고, 3038건의 현장 노동상담이 진행됐다.

김영주 고용부 장관은 전국 9개 주요 도시에 설치된 10개 현장노동청을 모두 방문해 현안에 대해 노사 양 측 등으로부터 직접 제안을 받고 상담도 실시했다.


또한 자영업자, 소상공인, 장애인 노동자, 전역예정 장병, 건설현장 소장, 청년들과의 현장 간담회를 개최해 노동조합뿐만 아니라 기업인들과 다양한 계층의 생생한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기도 했다.


현장노동청 운영기간에도 접수된 제안·진정이 조속히 처리되는 성과도 있었다.


서울현장노동청 개청식(9.12) 직후 김 장관이 직접 받은 제1호 국민 제안·진정은 13일 만에 해결됐고, 대구·중부 현장노동청 방문 시 접수받은 2개 사업체에 대해서는 그간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21일과 26일 각각 불법파견 노동자를 직접 고용토록 시정지시를 내렸다.


고용부는 현장노동청에 접수된 제안·진정서를 10월 중에 집중적으로 검토해 정책 반영 여부 등을 결정·처리하고, 이를 종합해 11월 초에 현장노동청 성과보고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현장노동청 운영을 통해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깨닫는 계기가 됐다"며 "국민들께서 주신 제안·진정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노동현장이 노사 양 측 어디에도 기울어지지 않는 평평한 운동장이 되도록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