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림청, ‘불길에 강한’ 목구조부재 국내 최초 개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화재사고에도 2시간 이상 구조물이 흐트러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목구조부재가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이는 앞으로 고층 목조건축 시장의 외연을 확대하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청은 국립산림과학원이 개발한 목구조부재가 건축법상 고층 목조건축의 필수조건인 ‘2시간 내화성능’을 충족했다고 16일 밝혔다.

내화성능은 화재 시 건축물이 붕괴되지 않고 일정시간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하는 성능을 말한다.


산림과학원은 최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에서 진행된 시험에서 집성재 기둥과 보, 구조용집성판(CLT·나무를 엇갈리게 붙여 기존 집성 목재보다 강도가 뛰어난 건축용 목재)로 구성된 바닥체와 벽체(2종) 등 5종의 2시간 내화성능을 확인(통과) 받았다.

기존에는 국내에서 2시간 내화성능을 인정받은 사례가 없어 5층 이상의 목조건축이 불가능했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5층 이상 12층 이하의 건축물은 2시간의 내화시간을 만족해야 하는 반면 이를 충족하는 목구조 부재가 없어 고층 목조건물을 지을 수 없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산림과학원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성능검증을 받아 목구조의 내화구조를 인정 취득함으로써 향후 고층의 목조건축도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산림과학원은 지난해 경기도 수원에서 국내 최초의 지상 4층 목조 건축물(종합연구동)을 완공한데 이어 2018년 경북 영주에 5층 규모의(국내 최대 높이) 목조 빌딩을 건축할 계획을 가졌다.


산림과학원 재료공학과 박문재 과장은 “이번 성능검증 결과는 목조건축이 화재에 취약하다는 선입견을 불식시키고 목재의 대량이용이 가능한 고층 목조건축을 활성화 하는데 일조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내년 서울에서 열리는 ‘2018년 세계목조건축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 목조건축 시대를 선도해 나가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