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 달러강세 우려 해소…外자본 강력 유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에릭 로버트슨 SC그룹 글로벌 거시전략 헤드 인터뷰…"新정부 '허니문' 기대감 지속"

"韓, 달러강세 우려 해소…外자본 강력 유입" 26일 서울 종로구 SC제일은행 본점에서 에릭 로버트슨(Eric Robertsen) SC그룹 글로벌 거시전략 및 외환(FX) 리서치 헤드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 SC제일은행)
AD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투자적 관점에서 한국은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이다. 최근 새 정부가 들어섰고 소위 '허니문' 기간 동안 많은 기대가 뒤따르는 만큼 (긍적적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에릭 로버트슨(Eric Robertsen) SC그룹 글로벌 거시전략 및 외환(FX) 리서치 헤드는 26일 서울 종로구 SC제일은행 본점에서 아시아경제와 만나 "한국의 중앙은행이 근래 몇 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는 것 자체가 중요한 변화이자 경제 전망이 개선되고 있다는 긍정적 사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다만 "실제 금리 인상은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국의 채권 시장은 이미 이 (금리인상)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싱가포르를 주 거점으로 SC그룹에서 글로벌 채권투자 및 통화ㆍ상품(FICCㆍFixed Income, Currency and Commodities) 부문을 담당하고 있는 로버트슨 헤드가 국내를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한국 시장은 연초 아시아 여타 국가들에 비해 미국달러 강세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주식시장이 굉장히 좋은 성과를 보이면서 외화 자본이 강력히 유입되고 있다"며 "특히 IT 및 기술관련 종목이 미국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가가 저렴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로버트슨 헤드는 국내를 비롯해 글로벌 투자자들이 올해 주목해야 할 요소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금리 정책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 ▲유가 및 원자재 가격 하락 등 세 가지를 꼽았다.


특히 그는 다수 시장 분석과 달리 미국이 금리를 올렸음에도 시장 유동성은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로버트슨 헤드는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하긴 했지만 이것이 통화긴축 정책을 의미하진 않는다. 장기금리는 오히려 인하될 것"이라며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투자자 입장에서는 신흥국에 투자할 여력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중국 시장에 대해서는 "지난해에 비해 통화(위안) 환율이 안정화됐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그는 "올해 중국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과 함께 긴축정책을 단행하고 있는데, 그 이면에는 금융기관들의 차입금 감소를 위한 의도가 있다"며 "이로 인해 당초 7% 정도로 예상됐던 중국 경제성장률이 6.5% 정도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 잠재적 리스크"라고 말했다.


국내를 넘어 아시아 시장 전체에서 눈여겨보고 있는 신흥국 시장으로는 '인도ㆍ인도네시아ㆍ말레이시아' 등 세 곳을 꼽았다. 로버트슨 헤드는 "흥미로운 점은 미 연준이 계속해서 '2019년 말까지 3%까지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시장에 밝히고 있다는 것"이라며 "반면 시장에서는 2% 정도로만 올릴 것으로 보고 있고, SC는 이 견해가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상 연준이 단기금리를 1%포인트 이상 올리는 것은 어려울 것이며 결국 신흥국 통화의 매력도가 증가한다는 측면에서 이들 국가를 선호하고 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SC그룹은 최근 포트폴리오 관리 차원에서 전통적 투자수단인 주식ㆍ채권 뿐 아니라 대체(alternative)투자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로버트슨 헤드는 "주식, 부동산, 프라이빗에퀴티(PE) 등을 모두 포함하고 보유기관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체투자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며 "SC그룹 역시 자체 자산관리(WM) 부서에서 이들 항목을 포함한 상품을 구성해 투자자에게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국내 은행이 아시아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투자뿐 아니라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한 뒤 "특히 중국 및 인도에서 금융당국 차원의 채권시장 개방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