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치킨 주문, 전화보다 앱이 편한 밀레니얼 세대 잡으려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치킨 주문, 전화보다 앱이 편한 밀레니얼 세대 잡으려면"
AD


KPC, '상상하지 말라. 그리고 관찰하라' 주제 강연 개최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 "빅데이터 활용, 사물 아닌 사람 '관찰'서 시작"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치킨을 주문할 때, 전화를 걸어 원하는 메뉴를 말하고 주소를 불러주는 게 편한가. 아니면 '배달의 민족'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 원하는 메뉴와 주소를 입력하는 게 편한가.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들은 후자를 더 편하다고 생각한다. "OO아파트 몇동 몇호, 후라이드 치킨 하나요" 하면 될 걸. 굳이 스마트폰을 집어서 앱을 켜고, 다양한 치킨집을 훑어본 후 메뉴를 선택하고, 주소를 엄지 두 개로 찍어 넣는 수고를 하는 게 더 편하다는 거다.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은 1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생산성본부(KPC) CEO 북클럽에서 "트렌드는 상대가 원하는 것을 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배달의민족, 에어비앤비, 직방, 카카오택시 등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는 말보다 문자가 편한 밀레니얼 세대의 마음을 반영해 트렌드가 됐다"며 "사람들이 말하지 않는 행동과 욕망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부사장은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한 트렌드 연구에 정통한 빅데이터 전문가다. 이날 강연에서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Mining)'을 통해 인간의 욕망을 이해하고 사회를 분석했다. 오랜 기간 축적한 온 자료를 기반으로 라이프스타일 변화 사례를 전달했다.


송 부사장은 "나와 다른 사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가 데이터 이해의 첫 단계"라며 "스스로의 선호에 대해 의심하고 선입견과 편향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엇을 상상하건 생각과 다르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여러 번 관찰해 실체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그 과정을 거친 후 상상을 통해 멋진 것을 만들어내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KPC CEO 북클럽의 총괄 디렉터를 맡은 정갑영 연세대 전 총장은 "빅데이터를 통해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 방향 등을 짚어볼 수 있었다"며 "가치의 변화는 특이성에서도 나온다.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할 때 메인스트림에 숨어 있는 다양성에 대해서도 항상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