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3명 중 1명 "일단 한 달은 살아보고…혼인신고는 나중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7초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 '혼인·이혼 인식' 발표
-10명 중 7명 '결혼식 후 혼인신고'…"한 달 후 혼인신고 하겠다" 응답도 다수
-그 무엇도 확신할 수 없는 불안한 사회…결혼도 안전추구

3명 중 1명 "일단 한 달은 살아보고…혼인신고는 나중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AD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결혼조차 확신할 수 없는 사회가 되고 있는 걸까. 그 무엇도 확신할 수 없는 사회 속에서 결혼도 '안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혼인을 약속하면 결혼식 전에도 혼인신고를 올렸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결혼식을 마친 뒤 한 달 뒤에라야 혼인신고를 올리겠다는 이들이 많아진 것. 국내 미혼남녀 10명 중 7명은 혼인신고를 결혼식 이후에 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끈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와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가 공동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는 미혼남녀 1000명(남 503명, 여 497명)을 대상으로 '혼인·이혼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이 결과 10명 중 7명(71%)은 결혼식 후 혼인신고를 하겠다고 밝혔다. 결혼식 전 혼인신고를 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25.9%, 혼인신고를 하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은 3.1%였다.

성별 기간별로 신고시기를 교차분석한 결과 남성은 '결혼식 후 30일 미만'(41.7%), 여성은 '결혼식 1개월 이후'(34.4%)란 의견이 가장 많았다.


혼인신고에 있어 미혼남녀는 결혼에 대한 확신(31.2%)이나, 혼인신고에 대한 무신경(24.3%) 정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혼인신고에 큰 의미를 안 둬서'라는 응답률이 25.4%로 가장 높았다. 결혼 확신이 없어서 24.5%, 전세자금대출 등 주택마련 13.9%, 자유롭고 싶어서 11.7%, 부모의 결정으로 6.4%의 비율을 보였다.


반면 여성은 '결혼 확신이 없어서'(38%), '혼인신고에 큰 의미를 안 둬서'(23.1%), ‘가족관계등록이 싫어서’(10.9%), ‘자유롭고 싶어서’(8.5%), ‘전세자금대출 등 주택마련’(6.2%) 순으로 답했다.

3명 중 1명 "일단 한 달은 살아보고…혼인신고는 나중에"


연인 간에 결혼 전 꼭 합의하고 싶은 사항은 ‘양가집안’(18.2%), ‘부부생활’(17.8%), ‘재산관리’(14.7%), ‘직장생활’(14.1%), ‘가사분담’(11%) 관련 수칙이 주를 이뤘다.


남성은 ‘부부생활’(17.2%), ‘직장생활’(17%), ‘양가집안’(16.1%) 관련 수칙을 중시했으며 여성은 ‘양가집안’(20.2%), ‘부부생활’(18.4%), ‘재산관리’(14.2%) 관련 합의를 내세웠다.


이혼이 불가피한 원인에는 외도와 경제적 무능력 등이 꼽혔다. 미혼자는 ‘외도’(19.3%), ‘양가 가족과의 갈등’(15.9%), ‘경제적 무능력’(14.5%) 등을 대표적인 이혼 사유로 꼽았다. ‘도박’(10.2%)과 ‘가정폭력’(10.2%), ‘성격차이’(9.3%), ‘가정 소홀’(7.9%) 등의 답변도 있었다.


2014년 통계청이 발표한 기혼자의 이혼 사유와는 다른 결과다. 통계청 자료에서는 ‘성격 차이’(44.6%), ‘기타’(22.7%), ‘경제 문제’(11.3%), ‘배우자 부정’(7.4%) 순이었다.


미혼남녀는 이혼할 경우 ‘경제적 문제’(남 40.6%, 여 40.4%)를 가장 먼저 생각했다. 이어 ‘자녀 양육’(37.9%), ‘정신적 후유증’(14.2%) 등을 염두에 두었다.


이혼 대비 방법은 ‘혼전계약서 작성’(남 26%, 여 28.4%)을 주로 선택했다. 다음으로 남성은 ‘대비가 없다’(22.1%)와 ‘혼인신고 보류’(21.1%), 여성은 ‘비자금 마련’(18.3%)과 ‘자녀 출산 보류’(17.9%)를 많이 선택했다.


재혼 인식 조사에서는 남성의 재혼의사(60%)가 여성(43.1%)보다 매우 높게 나왔다. 성별 연령별 교차분석 결과, 남성은 전 연령에서 여성보다 재혼의사가 더 높았다. 남성의 재혼의사는 25~29세 68.2%, 30~34세 61.1%, 35~39세 54.5%, 여성은 각 50.5%, 46.9%, 35.4%로 나타났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