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업공시 편해진다…기업공시종합시스템 'K-CLIC' 오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23일부터 서비스 개시

기업공시 편해진다…기업공시종합시스템 'K-CLIC' 오픈 기업공시종합지원시스템(K-CLIC)
AD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A사 공시 담당자는 공시를 내보내기 위해 사내에 산재된 모든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했다. 더욱이 공시규정과 공시서식의 개정이 빈번해 제한된 인력으로 일일이 바뀐 기준을 확인하고 숙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업공시 절차를 간소화한 기업공시종합시스템 'K-CLIC(Korea-Checking, Linking, Integrating system for Corporate disclosure)'가 첫 선을 보였다. 이 시스템은 기업의 공시정보 생산비용을 낮추고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구축됐다.


금융위원회는 23일 한국거래소 대회의실에서 'K-CLIC'의 첫 시연회를 갖고 이날부터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K-CLIC'는 지난 5월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주재한 '기업공시제도 현장간담회'에서 제기된 기업공시 담당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고안된 시스템이다.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등 3개 기관의 협업을 통해 탄생했다.

'K-CLIC'는 공시 자료 입력부터 자료생성과 제출까지 원스톱(One-Stop) 체계를 갖췄다. 기업공시 담당자는 각종사건이 발행하면 해당사건이 공시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지만, 앞으로는 'K-CLIC'를 통해 공시기준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공시항목과 공시서식의 잦은 변경에 따른 불편함도 해소했다. 'K-CLIC'에 개정된 서식이 자동으로 반영돼 기업공시 담당자는 별도의 확인절차 없이 시스템의 안내에만 따르면 된다. 법령과 규정집을 일일이 뒤져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공시업무와 관련한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아울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과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공시내용을 각각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없앴다. 기업공시 담당자가 'K-CLIC'에 접속해 공시내용을 입력하기만 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공시정보로 변환해 DART와 KIND에 전송하는 식이다. 다만 이 기능은 고도화작업을 거쳐 내년 상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정찬우 금융위 부위원장은 "'K-CLIC' 도입으로 그간 복잡한 공시제도와 과도한 작성부담으로 애로를 겪었던 상장기업들이 보다 편리해 질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공시 정보생산 비용의 획기적 감축과 투자정보의 적시성 있는 공시를 유도하는 자본시장 내 '혁신의 아이콘'으로 성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