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경련, "全계열사 '임금피크제' 도입…절반에 그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전국경제인연합회는 삼성, 현대자동차, SK, 롯데 등 국내 주요 21개 그룹 중 전계열사가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곳은 11곳으로 절반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나머지 10개 그룹은 아직 노사 협상 중이다.


20일 전경련이 발표한 '주요 21개 그룹 임금피크제 도입 현황'에 따르면 모든 계열사가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기로 한 그룹은 삼성, LG, 롯데, 포스코 등 11개 그룹이다.

삼성그룹은 내년부터 전계열사가 임금피크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LG그룹은 이미 모든 계열사가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전자계열사는 정년을 기존 58세에서 60세로 상향할 예정이다. 롯데그룹은 롯데제과, 롯데홈쇼핑이 이미 시행 중이고 나머지 계열사는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캠텍, 포스코 강판 등 일부 계열사에서 58세에서 60세로 정년 기준을 연장 적용하고, 내년까지 전계열사로 임금피크제를 확대할 계획이다.


반면 내년도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노사협상을 진행하는 곳은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한화그룹 등이다. 한화그룹의 경우 한화, 한화케미칼, 한화첨단소재 등 21개 계열사가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기로 했지만 나머지 계열사는 노사협상이 진행 중이다.

한진그룹은 대한항공, 한진해운 등이 내년부터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기로 합의했고, 상시 300인 미만인 일부 계열사는 2017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SK그룹은 SK텔레콤, SK하이닉스, SKC, 워커힐 등 대부분의 계열사에서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상태이나, 나머지 계열사들은 연내 도입을 추진 중에 있다.


이철행 전경련 고용복지팀장은 "정년연장에 따른 청년고용절벽 해소를 위해 임금피크제 도입이 필요하나 내년부터 전계열사에서 실시하는 그룹이 절반 밖에 안된다"며 "노사 협력이 절실한 때"라고 지적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