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전역 주변 명품역세권 위해 1조5000억원 투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대전시, 코레일, 대전 동구청, ‘대전역 복합2구역 개발촉진 협약’…도로개설 등 기반시설 설치, 복합환승센터 터 1만5000㎡ 확보에 적극 참여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대전역 주변의 낙후지역이 명품 역세권으로 개발된다.


대전시는 코레일, 대전 동구청과 10일 오후 대전시청 회의실에서 ‘대전역 복합2구역(동광장, 10만6000㎡) 개발촉진을 위한 협약’을 맺고 명품 역세권 만들기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3개 기관은 1조5000억원을 들여 대전역 복합2구역인 동광장을 문화와 업무 및 상업시설이 어우러지는 곳으로 재창조하자는 데 뜻을 같이 했다.


따라서 2006년 12월 도시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대전역세권(88만7000㎡)의 원활한 개발과 국립철도박물관 유치를 통한 철도문화 메카조성 계획이 시동을 걸게 된다.

협약의 주 내용은 ▲도로개설 등 기반시설 설치를 통한 사업여건조성과 민간투자자 유치노력(대전시) ▲기반시설 분담계획으로 세종시와 대전역을 잇는 BRT 기·종점 활용을 위해 복합환승센터 터 1만5000㎡ 확보(코레일) ▲사업시행인가 등 행정절차 이행 적극 협조(동구청) 등이다.



대전역세권은 대전역 복합구역(20만4000㎡)을 포함, 11개 구역으로 나뉜다. 대전역 복합구역은 다시 3곳으로 나뉘며 사업성 확보를 위해 제2구역을 먼저 개발된다.


대전역 복합구역은 2008년 민자 공모를 추진했다가 넓은 면적, 백화점 입점제한 등의 이유로 무산됐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대전역세권 개발이 약 5년 멈췄으나 사업을 재개, 원도심 활성화와 대전발전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올부터 5년간 약 1조5000억원의 민자유치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 협약을 바탕으로 계획이 잘 이뤄져 사업이 성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대전역세권 개발은 2006년부터 추진돼 왔으나 외부적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대전시와 동구청의 재정비촉진계획 수정과 도로정비사업 추진 등 역세권 개발 노력과 열정 덕분에 첫 걸음을 내딛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현택 대전 동구청장은 “올 연말 경부고속철도변 정비사업 마무리와 함께 역세권 선도사업이 추진되면서 철도가 또 다시 도시발전을 이끌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