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문화재 등록예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문화재 등록예고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
AD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가 문화재로 등록 예고됐다.

이 태극기는 1900년 전후 만들어져 1908년 강릉 선교장 내 설립된 근대식 학교인 동진학교에 민족 정체성의 상징으로 보급돼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선교장을 소개하는 선교장 가족사진첩(출판사 열화당, 1995)에는 1908년 동진학교를 설립한 기념으로 학생들과 함께 찍은 사진이 수록돼 있다. 사진배경에 교차 게양된 태극기 두 점 중 왼쪽 태극기가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대상이다.


태극기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옥양목 두 폭을 이음질해 가로 153㎝, 세로 145㎝로 잘라 재봉침으로 두 줄의 테두리를 박아 바탕을 만들고, 이 바탕천에서 태극문양과 건곤감리 4괘(卦)의 모양을 오려낸 다음 그 크기에 맞게 태극문양과 4괘를 메운 뒤 재봉침으로 정교하게 두 줄 박음질해 완성했다. 이러한 제작 기법은 주로 태극기를 처음 사용했던 1882년부터 1900년 전후로 나타난다. 게양 시 앞뒤 양면 모두에서 태극기의 모양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태극기는 1890년대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데니(O.N.Denny) 태극기(등록문화재 제382호)와 비교해 좌 게양 방식, 4괘의 위치, 바탕천을 오려낸 뒤 붙여 꿰매거나 박는 방식으로 태극문양과 4괘를 넣은 점 등에서 매우 유사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처럼 강릉 선교장 태극기는 현존 형태와 역사적 유래, 4괘와 태극문양의 위치, 제작 방식, 게양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역사성과 희귀성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강릉 선교장 소장 태극기는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될 예정이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