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우리나라 유네스코 등재유산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농악, 인류무형유산 등재…우리나라 유네스코 등재유산은? 강화군 내에서 전래되고 있는 농악인 '갑비고차농악'.(사진제공=문화재청)
AD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한국의 '농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 등 총 17개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한 나라가 됐다.

문화재청은 지난 2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9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를 위한 정부간위원회에서 '농악'이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가 최종 결정됐다고 밝혔다. '농악'은 국내 중요무형문화재 6개와 함안 화천농악을 비롯한 지방무형문화재 24개 등 총 30개의 무형문화재로 구성돼 있다.


유네스코 등재유산은 세계유산과 인류무형유산, 세계기록유산으로 나뉜다.

우선 세계유산은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각국의 부동산 유산이 등재된다. 1972년 유네스코(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의거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한다. 석굴암·불국사(1995년)을 시작으로 화성(1997년), 조선왕승(2009년), 남한산성(2014년) 등 총 11개다. 전세계에는 160개국의 981건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돼있다.


인류무형유산은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의거해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표목록 또는 긴급목록에 각국의 무형유산을 등재하는 제도다. 국내에는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판소리(2003년), 처용무(2009년), 매사냔(2010년),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 등 최근 등재된 농악을 포함해 총 17개가 등재돼있다. 전세계에는 88개국 296건의 인류무형유산이 등재됐다.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고문서 등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선정한다. 1997년부터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2년마다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한다. 서적(책)이나 문서, 편지 등 여러 종류의 동산 유산이 포함된다. 105개국 1대륙 4국제기구의 300건이 등재돼있다. 한국에는 훈민정음(1997년)과 조선왕조실록(1997년), 난중일고(2013년) 등 11건이 등재돼있다. 여성가족부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