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본 경기침체, 또 다른 글로벌 금융위기의 서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로 수준의 금리정책과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돈 풀기에 앞장섰던 일본이 결국 다시 경기침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또 다른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오는 게 아니냐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소재 경제ㆍ투자 리서치 업체 도먼 캐피털리서치의 버트 도먼 대표는 최근 경제 격주간지 포브스 인터넷판 기고문에서 일본을 예로 들며 양적완화 정책이 경기회복에 한몫하기는커녕 더 큰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ㆍ일본ㆍ유럽ㆍ중국 등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경기회복을 위해 푼 유동성만 10조5000억달러(약 1경1550조원)가 넘는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2008년 11월부터 6년 동안 양적완화로 4조달러를 풀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수천억유로어치 국채를 매입한 데 이어 최근 1조유로의 자산을 추가 매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지난해 1조4000억달러 상당의 경기부양책과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진행한 데 이어 지난달 8000억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까지 발표했다. 중국도 2009년 경기부양 조치로 4조위안의 유동성을 풀었다.

계획대로라면 각국 중앙은행의 처방전이 디플레이션 탈출과 경기회복으로 이어져야 한다. 하지만 이를 불안하게 지켜보는 눈이 많다.


지난 1일 중국 베이징(北京)의 국제금융포럼 2014 컨퍼런스에서 제이미 카루아나 국제결제은행(BIS) 총재는 세계 각국의 전례없는 유동성 확대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그는 "금융 불균형이 축적되면 다른 금융위기의 전조가 된다"면서 "금융 분야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뿐더러 부채는 지나치게 많아진다"고 말했다.


'채권왕' 빌 그로스는 이달 초순 자기가 운영하는 야누스캐피털의 투자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천문학적인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실물경제는 여전히 시들어가고 주식시장만 부풀렸다"고 지적했다.


일본만 봐도 이런 불안감이 언제든 현실화할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 일본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거품'까지 감수해가며 돈 풀기에 나섰다. 그러나 지난 4월 소득세율을 인상(5%에서 8%로)하는 엇박자 정책으로 또 경기침체에 빠지고 말았다.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경기부양책을 편 결과 경기침체라는 최악의 성적표만 손에 쥐었다. 그 사이 재정적자 부담이 커지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경제정책, 다시 말해 '아베노믹스'에 대한 신뢰도는 추락했다.


도먼 대표는 일본의 경제정책이 실패한 것처럼 각국 중앙은행의 제로 금리 정책을 통한 돈 풀기도 결국 디플레와 경기침체의 주범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처럼 경기회복에 별 효과를 못 보고 신용 거품만 점차 키우리라는 게 그의 진단이다.


그는 경제활동의 주축인 대기업들 행보만 봐도 풀린 돈이 실물경제 회복에 쓰이지 않고 증시로 흘러들어 투기만 조장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더 심각한 것은 세계 경제에 영향력이 큰 주요국들의 동시다발성 양적완화로 정책 실패가 현실화할 경우 충격은 상당하리라는 점이다. 세계 경제가 한 번에 붕괴되는 일은 어떻게든 막을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미 풀린 유동성으로 금융시장의 붕괴는 불가피하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