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ook]끝나지 않을 삶과 죽음에 대한 물음…'삶의 옹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홍신선 시인 여덟 번째 시집 선보여..총 4부로 구성

[Book]끝나지 않을 삶과 죽음에 대한 물음…'삶의 옹이' 삶의 옹이
AD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홍신선 시인이 여덟 번째 시집 '삶의 옹이'를 선보였다. 2009년 '우연을 점 찍다' 이후, 전업시인으로 살면서 쓴 60여편의 시들을 한 곳으로 모았다. "무릇 얼마나 나를 덜어 남을 이루었는가. 내려놓는다고 했는데 아직도 들고 있는 것은 없는가. 끝내는 목숨도 내려놓을 일 아니던가" 등 시인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통해 삶을 성찰하고, 현실을 탐색해나간다.

총 4부로 구성된 시집 '삶의 옹이'의 책 머리에 시인은 "일체 수사도 문법도 모두 벗겨버린 누드의 말 하나 그렇게 춥고 찬 세상에 외따로 세워두고 싶다"며 "이즘은 때때로 삶을 역주행해 시를 몰고 30대 어디쯤 한 번 더 가고 싶은 날들이 있다"고 고백한다. '폭설 친 효창공원에서', '건강 검진센터에서', '스스로 왕따가 되어', '히트한 거 있나요', '고독사, 혹은 과로사' 등의 시에서 시인은 일상의 몇몇 단면을 보편적 정서로 환원시킨다.


동명의 시 '삶의 옹이'에서 시인은 사망 6개월 만에 백골로 발견된 중장비 기사의 이야기를 신문기사에서 읽고 "여섯 달 만에 백골로 출현한 독거남 중장비 기사, / 유서처럼 남긴 쪽방 허공엔 / 익명의 이 사회가 놓은 올무인가 / 달랑 그의 생을 옭아맨 머리칼 몇 올 느슨히 풀려있었다는데 / 마침, 워킹 코스의 너테 위에 엉덩방아 찧으며 / 골반 뼈 부서졌을 저 백수 늙은 햇볕은 또 비명을 얼마나 길게 삼키는가"라고 탄식한다.

자의로, 혹은 타의로 세상에서 소외된 이들에 대한 시선은 여기저기서 나타난다. '고독사, 혹은 과로사'라는 시에서도 시인은 "혼자 오래 견디는 외로움도 너무 지나치면 과로 아닐까 / 때 이른 소한 추위 속 세상 뜬 독거 할멈, 고독사일까 과로사일까" 하릴없는 의문을 품고, '시간의 민낯을 보다'라는 시에서는 "시간의 민낯 같은 도색 떨어진 공원블록담 밑에 / 이 봄날 쇠를 따고 들어온 / 한 둘 동네 노인이 / 재활용품 적치장에 갈 수집한 폐지들 근량을 달고 있다 / 길로 쌓아 놓은 햇볕이 무한 가볍다"고 말한다.


고봉준 문학평론가는 "시집 '삶의 옹이'의 문제의식은 삶과 죽음의 의미에 관한 물음에서 끝나지 않는다. '사는 일'이 '죽는 일'과 무관하지 않고, '쓰는 일'이 '죽는 일'에 저항하는 과정의 일부일 때, 거기에는 '사는 일'과 '쓰는 일'의 관계에 대한 자의식이 투영되기 마련"이라며 "이런 이유로 우리는 이 시집의 도처에서 '시'와 '삶'의 연속성에 관한 질문과 사유를 목격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등걸잠인가 끌려나온 취객 몇 놈 / 허공에 붕괴된 정신처럼 나자빠져 있다 / 봄철도 파장 무렵인데 / 무엇에 저리 대취했는가 / 가끔 우리도 살 갈래갈래 찢기고 생 뼈 튀어나오는 / 그 외로움에 취할 때 있지." (시 '자목련 꽃피다' 전문) 인간의 죽음에 관한 성찰, 이웃 사람들 삶의 소박한 이야기, 자연과 자연물들에 대한 놀라운 발견 등 시인의 인간사에 대한 성찰의 결과를 만나볼 수 있다.


홍신선 시인은 1944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국문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1965년 시전문지 '시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서벽당집' '겨울섬' '우리 이웃 사람들' '다시 고향에서' '황사바람 속에서' '자화상을 위하여' '홍신선 시전집'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대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한국시협상 등을 수상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