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에 남겨진 가족도 못보고 매년 '2200명' 사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현대경제연구원, 이산가족 매년 최소 6600명은 상봉해야

"北에 남겨진 가족도 못보고 매년 '2200명' 사망"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남북 분단의 아픔을 간직한 채 북에 남겨둔 가족과 상봉도 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이산가족이 연간 22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존한 이산가족들이 생애 한 번이라도 북에 있는 가족을 만나려면 매년 6600명 이상이 상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현대경제연구원의 80세 이상 고령 이산가족을 위한 긴급 대책 제안에 따르면 1988년 이후 2013년 말까지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총 12만9264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44.7%인 5만7784명은 이미 운명을 달리했으며 55.3%인 7만1480명만이 북에 있는 가족을 만날 날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2003년 이후 사망자 수는 매년 평균 3800명에 달하나, 상봉자 수는 1600명에 불과했다. 연간 2200명에 달하는 이산가족들이 상봉하지 못하고 사망한 셈이다.


현재 이산가족은 평균기대여명(50~60대 24.4년, 70~80대 9.6년)으로 추산해 볼 때 70대 이상 고령층은 10년 내에 대부분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현재 모든 생존자들이 향후 생애 한번이라도 상봉하기 위해서는 최소 상봉인원을 매년 66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향후 10년간 매년 6000명 이상 상봉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80대 이상의 평균기대수명을 초과한 이산가족에 대해서는 긴급 특별상봉을 추진하고 상봉 확대를 위해 다양한 상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면상봉 이외에도 생사 확인, 서신교환, 화상상봉 등 다양한 상봉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고령화로 거동이 불편한 이산가족이 상당수라는 점에서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대면상봉보다 용이한 화상상봉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는 이어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상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며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통해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 등 상시적인 정보 교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산가족의 전면적인 생사 확인을 위해 '남북한 이산가족정보 통합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대면상봉 없이도 자유롭게 이산가족 간 우편물을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도 모색할 수 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