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분노사회' 한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감정노동자 문제, 장기적-체계적-구조적 해법 마련해야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최근 이른바 '라면 상무' 사건과 중소식품업체 회장의 호텔 도어맨 폭행 사건 등으로 '감정노동자'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그러나 이를 '가해자'들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오만한 행태, '감정노동'의 특성 등에 초점을 맞춰 바라보는 것은 구조적인 문제를 놓친 시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평범한 사람들도 순간적인 분노를 참지 못해 각종 범죄를 저지르는 '분노 사회'의 한 단면으로 파악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진단ㆍ처방을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하고 있다.


이와 관련 최석현 경기개발연구원 사회경제센터 연구위원은 지난 4월3일 펴낸 '분노사회의 진단과 관리 전략'이라는 보고서에서 "한국인들의 문제에 대한 사회 이슈화 방식이 대화보다는 분노 표출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다'는 문제 해결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며 "본인의 분노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공공기관 백화점 음식점 등에서 극단적으로 드러내 불만을 표시하는 등 무분별하게 분노를 표현하고 있는데 그 주요 피해자들이 바로 감정노동자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위원은 이어 "분노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삶의 질 욕구의 실현이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사회적 장애물로 인해 점차 어려워지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찾을 수 있다"며 "'성장사회'에서 '성숙사회'로 사회적 지향점을 바꾸고,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기업들의 프로그램 도입, 사회안전망 및 공동체 강화 등 사회적 인프라 구축, 생활형 스트레스 지표 개발ㆍ운용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