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정은 "포탄생산 늘려라"... 北 군수공장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김정은 "포탄생산 늘려라"... 北 군수공장은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달 중순 군수공업부문 일꾼협의회에 참석해 포와 포탄의 생산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김 제1위원장은 협의회에서 "포와 포탄의 질을 철저히 보장해야 적 대상물에 대한 선제타격과 불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며 "지금 적들이 전쟁의 도화선에 불을 달고 있는 조건에서 신뢰성 있는 포무기와 포탄을 생산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북한은 1960년대에 4대 군사노선을 추진하면서 군수공장을 확장시켜왔다. 당시 금속공장, 공작기계공장, 정밀기계공장, 자동차공장, 트랙터공장, 통신기계공장, 조선소 등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군수품을 생산할 수 있는 체제로 개편했다.

현재 북한의 군수산업과 군사과학기술은 국방위원회 산하 제2경제위원회가 총괄한다. 제2경제위원회는 지원부서인 총국을 비롯해 7개 기계산업국으로 구성돼 있다. 제1국은 재래식 소형화기와 탄약 및 일반군수장비를, 2국은 전차, 3국은 대포와 대공포를 담당한다. 김정은 제1위원장이 지시한 포와 포탄 생산을 관할하는 곳은 평양, 청진, 강계 등 50 여곳에 총포 탄약공장으로 알려졌다.


4국은 미사일 시스템개발을 책임지고 있고, 5국은 핵과 생화학무기, 6국은 함정과 잠수함, 7국은 통신장비와 항공기를 담당하고 있다. 4국은 함북 1·28, 1·25기계창, 강계 제26총창 등 5개 공장을 관할하고, 6국은 청진제조창과 남포조선창을 담당한다.


북한은 현재 총 300여개의 군수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전시전환 군수공장으로 지정된 민수공장은 단시간 내에 전시동원체제로 전환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전쟁물자는 갱도비축 시설에 저장하고 있으며 약 2~3개월 분량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제2경제위원회 산하 총국 중 가장 주목해야하는 담당부서는 화학무기와 핵을 담당하고 있는 5국이다.


북한은 1960년 화학화 선언 이후 화학전 능력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를 통해 1980년대 독자적인 화학전 공격능력을 확보했다고 선언했다. 화학전을 위해 북한은 5국이 관할하는 아오지화공창 청진화공창 함흥28비날론공장 등 9개 시설을 운용중이다. 군 당국은 이곳에서 탄저균, 천연두, 콜레라 등의 생물무기를 자체적으로 배양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발간하는 '동북아안보정세분석'자료도 "북한이 보유한 화학작용제 2500~5000t을 전량 화학탄으로 만든다면 62만5000 발에서 최대 125만 발까지 제조할 수 있는 양"이라고 밝혔다. 이는 화학탄 1발당 화학작용제 소요량을 4㎏으로 계산한 것으로 화학작용제 5000t은 서울시 면적의 4배인 2500㎢를 오염시킬 수 있는 양이다.


북한은 현재 제2경제위원회 산하에 총 180여개의 군수공장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제000호 공장’으로 위장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하화 시설로 갖춰졌다. 이외에도 110여개소의 일반공장을 전시전환 공장으로 지정하여 전시에는 즉각 군수물자를 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대북전문가는 "북한의 군수제품의 수준은 서방권의 제품에 비해 가공정밀도가 낮으며 부품의 호환성이 좋지 못하다"며 "전자?통신 분야는 가장 낙후된 부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북한이 지난해 12월 발사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의 잔해를 분석한 군 당국은 "여러 개의 패널을 이어 붙여 만든 산화제통의 용접 부분이 균일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공법은 조악하다"고 평가를 한 바 있다. 당시 잔해 조사는 국방부 정보본부 측과 미국 전문가 등이 포함된 군ㆍ민 관계자 52명이 참여해 분석작업을 진행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