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강릉 굴산사지, 승려선방지·요나라 연호 명 기와 발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강릉 굴산사지, 승려선방지·요나라 연호 명 기와 발굴 굴산사지 발굴조사구역 유구노출 모습.
AD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강릉시 구정면 사적 488호 굴산사지에서 승려 선방지 등 7개 건물지와 배수로가 발굴됐다. 또 ‘천경삼년(天慶三年)’이란 명문이 새겨진 기와가 추가로 발견됐는데, 이는 고려와 요나라의 교류를 알려준다.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올해 굴산사지 발굴조사에서 총 7개의 건물지와 담장지, 계단, 보도시설과 배수로, 다리(石橋), 디딜방아 시설 등 다양한 유구가 확인됐다고 12일 밝혔다.


굴산사는 강릉단오제(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의 주신(主神)인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신라 문성왕 13년(851)에 창건한 영동지역 선종(禪宗)의 중심 사찰이다. 신라 하대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사굴산문(??山門)의 본산이기도 하다. 구산선문은 9~10세기 신라말 고려초의 사회변동에 따라 주관적 사유를 강조한 선종(禪宗)을 산골짜기에서 퍼뜨리면서 당대의 사상계를 주도한 아홉 갈래의 대표적 승려집단을 뜻한다.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709번지 일원 굴산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이곳 발굴지는 약 3000㎡로, 1983년부터 시굴조사를 벌이고 있는 지역이다.


중원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해당 발굴지에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방형초석 건물지와 북쪽의 정면 6칸, 측면 4칸의 대형 건물지를 중심으로 동ㆍ서에 긴 행랑지가 확인됐다. 전체적으로 내부에 ‘□’자형 중앙정원(中庭)을 갖췄다. 특히 대형 건물지 내에 긴 장대석으로 만든 내부공간에 함실(函室, 조리시설이 있는 부엌과 달리 난방 전용의 공간) 아궁이가 여러 갈래의 고래로 연결되는데, 일부는 강원지역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인 대형 코클(벽난로의 일종)의 하부구조로 판단된다.


건물지의 배치와 내부 온돌시설들로 볼 때 조사 구역은 굴산사의 승려들이 생활했던 승방지(僧房址)와 참선 등을 위한 선방지(禪房址), 기타 생활을 위한 부속시설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강릉 굴산사지, 승려선방지·요나라 연호 명 기와 발굴 천경삼경 명 기와


지난해 시굴조사에서는 오대산 금강사의 명문기와가 발견돼 오대산 신앙결사의 실체가 고고학적 유물로는 최초로 확인된 바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천경삼년(天慶三年)’ 명 기와가 추가로 발견됐다.


천경이란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의 마지막 황제 천조제(天祚帝)가 1111년부터 1120년까지 사용한 연호다. '천경삼년'은 1113년을 가리키는 연대로서 동일한 명문와가 인근의 양양 진전사(襄陽 陳田寺)에서 보고된 바 있어 굴산사와 진전사가 1113년도 동일시기에 중수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료다. 또 이 명문와를 통해 고려와 요나라 간에 활발한 교류 관계가 있었던 것을 내포하고 있다.


연구소는 오는 13일 오후 2시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오진희 기자 vale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