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백'말'이 무효…침수대책 실행부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기자수첩]백'말'이 무효…침수대책 실행부터
AD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이번 광복절엔 중부지방의 물폭탄이 큰 뉴스였다. 일본과의 갈등도 주요 이슈였지만 국민들의 실생활과 직접 연관된 사안이어서다.


시간당 100㎜가 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철도와 주요 도로가 통제됐다. 특히 서울 강남구 일대의 침수사태는 더욱 부각됐다. 저지대인 탓에 빗물이 제대로 빠지지 않아 빗물이 무릎 위까지 차면서 차량들이 떠다닐 정도였다. 시민들이 거리에 아예 나서지 못하게 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강남지역의 침수사태는 이번에만 일어난 사건이 아니다. 지난해엔 더했다. 완전히 침수된 강남지역 일대 도로 탓에 이 일대는 물론 4대문 안으로 출근하려는 시민들의 출근길이 봉쇄당했다. 2010년에도 강남역은 침수사태를 겪었고 지난 2006년에도 침수로 인한 도시기능 마비를 경험한 것을 상기하면, 이런 사태를 예방할 기간은 적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강남역은 대한민국 유동인구 1위인 지역이다. 이런데도 대책은 감감 무소식이다. 배수시설을 확충하는 것을 검토하겠다는 반복적인 얘기만 들려온다. 관할지자체인 서초구에서는 "지대가 낮기 때문"이라며 "대심도 터널 등을 구축해야 한다"는 '말'만 거듭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강남역 주변에 본사를 둔 세계 굴지의 기업인 삼성그룹에서도 이 사건이 회자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귀국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에게 최지성 부회장은 "회사 떠내려가지 않았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 중에서도 유독 본사와 접한 강남역 주변 도로 침수가 심각했던 사실을 염두에 둔 걱정으로 풀이된다.


이제 정부와 지자체는 '집중호우엔 백약이 무효'라는 접근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50년 만에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두고 도시설계를 했다면 이제는 100년 빈도의 가능성을 예견해야 한다. 비용이 천문학적이라고 해서 허술한 도시시스템을 둬서는 안 된다. 시민의 생명이 달려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강남뿐만 아니라 모든 시설에도 마찬가지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


이번 사태를 겪고도 예방책을 단단히 세우지 않으면 집중호우 때만 되면 소위 '강남스타일'이나 '한류' 브랜드는 국제적 망신을 당할 수밖에 없다.




박미주 기자 beyon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