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정용 건강의료기 디자인출원 ‘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특허청 분석, 1990년대 초 매년 50여건→2008년부터 200여건 넘어, 실버인구증가, 웰빙건강 원인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웰빙바람을 타고 가정용 건강의료기 디자인출원이 크게 늘고 있다. 휴대 및 설치가 편하고 값이 싸 일반에 널리 알려지면서 제품 본연의 기능에 디자인을 더한 건강의료기들이 디자인출원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17일 특허청에 따르면 가정용 건강의료기의 디자인출원은 1990년대 초반엔 해마다 50여 건에 그쳤으나 1990년대 후반 후 꾸준히 늘어 2008년부터는 매년 200여건을 넘어섰다.

이는 주 수요계층인 실버인구 증가와 웰빙 건강에 대한 젊은 세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가정용 건강의료기의 디자인출원 경향 특징은 3가지다. 먼저 제품특성상 개인출원비율(65%)이 법인출원보다 높다. 특히 만들기가 쉽고 갖고 다니기가 편한 침 치료기는 개인출원비율이 90%에 이른다.

다음은 침, 열, 광선, 자기장, 주파수 등을 이용한 물리치료기로 휴대와 설치가 편하다. 유형별 출원은 열치료기(49%), 고·저주파 치료기(24%), 광선치료기(11%), 치료욕기(10%), 침치료기 (4%), 자기장치료기 (2%) 순으로 많다.


최근 신체적 물리치료기능에 더해 쓰기 편하고 장식적 미감까지 갖춰 소품으로도 쓸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출원되는 게 또 하나 특징이다. 도자기를 이용한 좌훈기, 기하학적 모양의 원적외선 발열기, 향기가 뿜어져 나오는 테라피머신 등은 현대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의 건강의료기다.


백흠덕 특허청 디자인2심사팀장은 “고령화 사회의 진전과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늘면서 가정용 건강의료기의 디자인출원이 느는 흐름”이라고 말했다.


백 팀장은 “침이나 열을 이용한 찜질 등 전통적 민간요법을 응용한 물리치료기가 현대적 디자인과 만나면서 일반수요자들에게 편하고 친숙하게 다가와 가정용 건강의료기 출원은 꾸준히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