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공업생산 10개월來 최저…제조업 경기 '빨간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아시아경제 김진우 기자]국내 제조업 동향을 나타내는 광공업생산이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밑돌며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7월 국지성 호우와 이상 기후의 여파로 실질 조업일수가 감소했던 점을 감안하더라도 산업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신호가 우려되는 수준이다. 유럽·미국의 재정위기로 불거진 글로벌 시장의 불안 요인 등을 감안할 때 8월 이후의 전망도 녹록지 않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대외여건의 악화로 경기 하방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하면서도, 우리 경제가 향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7월 광공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3.8% 증가, 지난해 9월(2.9%)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당초 6~7%대 증가를 예상했던 시장의 전망를 크게 밑돈 수치다. 광공업생산은 전월대비로는 0.4% 감소해,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영상음향통신(-19.7%), 전기장비(-9.3%) 등의 생산이 부진한 영향이 컸다. 7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82.1%로 정상가동률(80.0%)을 웃돌았으나, 전달보다는 0.4%포인트 하락했다.

내수 경기를 나타내는 서비스업생산(3.8%)과 소매판매(5.3%)는 양호한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설비투자(-2.7%)와 기계수주(-2.4%)는 전년동월대비로 감소해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의 경기를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와 3~6개월 후의 경기를 반영하는 경기선행지수는 3개월 연속 소폭 동반 오름세를 이어갔다.


전문가들은 7월 산업활동이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았다고 분석하면서, 향후 전망은 더욱 불확실하다고 한목소리를 모았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7월 지표로 봐서는 하반기 경기가 당초 기대했던 것만큼 탄력적이지 못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으며,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도 "유럽과 미국의 재정 긴축으로 향후 경제동력이 힘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7월 산업활동이 집중호우와 생산설비 이전 등 계절적·일시적 요인으로 불안했다고 보고, 8월 이후 전망은 글로벌 재정위기 여파가 어떻게 전이되는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경기지수가 조금 불안했다, 견조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계절적 일시적 요인은 완화되겠지만 글로벌 재정위기 전개 추세에 따라 국내 경기가 어떤 쪽으로 흐를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우 기자 bongo7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