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 투자자 금융자산 비중 美·日의 1/3 수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우리나라의 총 가계자산 대비 금융자산 비중은 21.4%로 미국(67.1%)·일본(60.5%) 등 선진국의 1/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융투자협회(회장 황건호)는 29일 한국·미국·일본 3개국의 가계금융자산 구성과 금융투자자들의 투자실태를 비교한 결과 이 같이 밝혔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2년 말 현금·예금 비중이 54.3%에 달했으나 올해 1분기 45.3%로 감소했으며, 금융투자상품 비중은 2002년 말 22.7%에서 올해 1분기 29.5%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금투협에 따르면 한·미·일 3개국 중 한국과 일본의 현금·예금 비중은 각각 45.3%, 55.3%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현금·예금 비중은 14.0%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금융투자상품 비중은 52.5%로 높았다.

현금·예금 제외시, 한국의 경우 금융투자상품 비중(29.5%)과 보험·연금 비중(24.5%)이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고, 일본의 경우에는 보험·연금 비중(28.4%)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한·미·일 3개국의 금융투자자들은 투자 목적으로 '노후자금마련'을 꼽았다.


또 한국과 일본의 평균 주식보유 기간을 비교한 결과, 1년 이상 투자한다는 응답은 한국의 경우 28.2%에 불과했으나 일본은 80.6%에 달해 한국의 장기투자성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평균 보유 펀드 개수는 한국의 경우 2개, 미국의 경우 7개였다.


펀드 구입경로는 미국과 일본의 경우 증권회사의 비중(각 31.0%, 43.9%)이 컸으나 한국은 은행의 비중(60.6%)이 가장 높았다.


한국과 일본의 투자자들은 펀드 투자시 '수익률'과 '안정성' 가운데 '안정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각 61.4%, 58.8%)하고 있다고 응답해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


이밖에 한국의 투자자들은 펀드 투자시 운용사의 브랜드 등 운용사의 인지도(41.2%)를 중요시하는 반면 일본 투자자들은 '분배금의 빈도 및 실적' 등 펀드 운용 실적(39.6%)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명현 금융투자협회 본부장은 "우리나라 가계자산은 여전히 미국·일본에 비해 실물자산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 "앞으로 선진국 수준의 장기·분산투자문화 정착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