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경제硏, "가계부채 관리해야 가계저축률 추가하락 막는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삼성경제硏, "가계부채 관리해야 가계저축률 추가하락 막는다"
AD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가계저축률의 추가적인 하락을 피하려면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외에 사회부담금의 효율적인 운영, 저소득계층의 소득안정 등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일 '가계저축률 하락의 원인과 경제적 파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가계저축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경제성장률은 최대 0.15%포인트 둔화되고 총고정투자율, GDP대비 민간소비 비중도 각각 0.36%포인트, 0.25%포인트 하락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가계 저축률은 2.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7.1%에도 한참 못 미치고 있다. 가계저축률 하락 속도도 OECD 국가 중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외환위기와 카드사태를 겪으며 급락했다. 전반적으로는 근로소득 중심의 가계소득 성장세가 둔화와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가 저축여력을 위축시켰다.


시기별 원인도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990년 후반 이후 국민연금 등 사회보험 대상이 확대되면서 가계소득에서 사회부담금이 늘어났다는 점, 2004년 이후부터는 저금리 기조로 인한 가계부채 급증으로 가계의 이자 지급부담이 크게 늘어난 점이 저축여력을 위축시켰다고 분석했다. 특히 가계부채의 대부분은 주택담보대출이 중심이 됐다.


아울러 삼성경제연구소는 한국 가계저축률 하락의 직접적인 원인들을 파악하고, 맞춤형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은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 가계저축률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가계부채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며 "금리수준을 실물경제 활동에 맞게 유지하고 가계대출 구조를 개선하고 금융기관의 위험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회부담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노후소득에 대한 국민의 기대를 안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고, "저소득계층의 저축률이 낮은 상황에서 소득양극화가 지속되고 있어 이들 계층에 대한 소득보전 대책도 시급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