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험사, 고령화 사회 역할론 대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6초

[아시아경제 조영신 기자]장수 리스크(오래 사는 위험)에 대한 보험회사의 역할론이 강조됐다.


류건식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2일 한국보험학회 주최 '장수위기와 보험회사의 역할' 학술대회에서 "보험사는 근로자의 소득대체율, 근로 기간, 은퇴기간 등을 고려해 안정적인 노후자금이 마련되도록 은퇴 재무설계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고령자 3239명을 대상으로 은퇴시기를 추정한 결과 응답자의 83.1%가 은퇴 자체를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었고 평균적으로 계획한 것보다 7.7년 일찍 은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소개했다.


류 연구위원은 "사적연금의 역할도 미흡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사적연금자산 비중이 11.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1.0%)과 큰 차이를 보였다"며 "보험사는 연금지급방식과 연금상품 개발 다양화로 개인의 장수리스크를 적극적으로 인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사·조직 컨설팅업체 에이온휴잇사의 세실 헤밍웨이 총괄책임자는 "퇴직 이후 생활에 대한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국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인 퇴직을 맞고 있다"며 "리스크관리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헤밍웨이 총괄책임자는 ▲퇴직연금 적용범위 확대 ▲은퇴연령 상향조정, 부담금증액 ▲퇴직연금제도의 관리감독 기준 정비 ▲세제혜택 확대와 다양한 연금상품 개발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리처드 맥민 미 일리노이주립대 석좌교수는 "장수리스크 증가에 따라 보험사 지급 여력은 한계가 있다"며 "장수리스크 관리를 위해 사망채권이나 장수채권, 장수스왑 등을 통한 정부의 리스크 분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영신 기자 asc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