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고삐 풀린 물가..추가 긴축 카드 나올까(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8초

[아시아경제 안혜신 기자] 중국 11월 소비자물가 상승이 5%를 넘어섰다. 중국 정부가 가격 상승 통제를 위한 시장개입은 물론 올해에만 6번째 지급준비율을 인상하는 등 긴축정책을 단행하고 있지만 치솟는 물가를 잡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특단의 조치로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물론 그동안 꺼려온 위안화 절상에 나설 확률도 높아지게 됐다.


◆ 고삐 풀린 물가 = 중국은 지난달부터 수차례 긴축정책 시행의지를 밝혔다. 중국 국무원은 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해 필요시 일시적으로 가격 통제에 나서겠다면서 지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직접적인 물가 통제에 나서겠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각종 노력이 무색하게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대비 5.1% 상승했다. 이는 전월 4.4% 증가보다 상승폭이 더욱 확대됐으며 시장 예상치인 4.7%를 대폭 웃도는 것이다.


중국 경제의 과열 신호는 곳곳에서 쉽게 감지되고 있다. 같은 기간 산업생산 역시 전년 동기대비 13.3% 증가, 전월보다 증가폭이 확대됐으며 신규대출도 올 들어 지난달까지 총 7조4540위안으로 중국 정부의 올해 신규대출 목표치 7조5000억위안에 바짝 다가선 상태다.

브라이언 잭슨 로얄뱅크오브캐나다 애널리스트는 "향후 몇 달 동안 물가 급등은 정책자들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당면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위안화 절상 나설까 = 그간의 긴축 정책에도 꿈쩍하지 않는 물가를 잡기 위해 전날 중국 정부는 오는 20일부터 은행 지준율을 0.5%포인트 인상했다.


시장에서 예상했던 금리 인상보다는 다소 약한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미국의 저금리와 중국의 고금리 차이를 노린 단기 투기자금 '핫머니' 유입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전 다섯 번의 지준율 인상에도 불구 인플레이션 압박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지준율과 관련된 조치는 그 효과가 미미했다. 따라서 이번 지준율 인상 또한 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 경우 중국은 추가적인 카드를 꺼내들 수밖에 없다.


금리 인상은 이 경우 가장 유력하게 점쳐지는 추가 조치다. 지난 3일 중국 정부는 내년도 통화정책 기조 표현방식을 기존 '적절하게 느슨한'에서 '온건한'으로 전환, 적극적인 긴축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예고하기도 했다.


왕 타오 UBS 이코노미스트는 "금리 인상이야말로 지금 상황에서는 부인할 여지가 없는 인플레 억제 방법"이라고 말했다.


위안화 절상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카드다. 위안화 절상은 중국으로의 원자재 수입 비용을 낮춰주고 경제 성장 속도를 늦춰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압박을 줄여줄 수 있다. 특히 11월 무역수지가 229억달러로 올 들어 세 번째 최고치를 기록한 점은 이러한 관측을 부추기고 있다.


상하이 외환 시장에서 달러대비 위안화 주간(6~10일) 상승폭은 지난달 둘째 주(11월8일~11월12일) 이후 가장 큰 0.17%를 기록했다. 전일 고시환율 역시 전 거래일 대비 0.08% 상승한 달러당 6.6604위안을 나타냈다. 그러나 여전히 6.6~6.8위안 사이를 맴도는 소극적인 움직임만 보이고 있을 뿐이다.


이에 대한 미국의 공세 또한 여전하다. 이번주 존 케리 미국 상원 외교관계위원회 위원장은 "위안화 절상을 막으려는 중국에 대한 미국의 인내심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법안을 제정할 계획"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용준 중국 국제경제교류중심(CCIEE)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위안화의 적당한 절상을 지지하는 세력은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혜신 기자 ahnhye8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