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企 "식품분야 수급체계 개선" 촉구

중기-장태평 농식품부 장관 간담회

중소기업계는 가공용 및 두부용 콩과 땅콩,고구마 등 식품분야의 수급체계 개선을 비롯한 농식품관련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정부에 촉구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오전 11시 여의도 중앙회 5층 이사회회의실에서 농림, 수산, 식품, 프랜차이즈 등 관련업계 대표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의 간담회를 연다.

중앙회는 이날 골판지포장, 연식품, 장류, 비료, 음식업 등 관련단체에서 제출한 25개의 대정부 건의사항을 농식품부에 전달한다.

중소 두부, 장류제조업체들은 "대기업이 주축이 된 단체가 모든 콩 가공식품 원료를 공급하면서 OEM 생산 중소기업들에 대한 중소조합의 탈퇴와 회원가입을 강요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또 두부용 수입콩의 경우 중기단체와 농산물유통공사 지사로 공급체계가 이원화돼 있어 배정량 부족 현상이 발생해 이를 일원화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땅콩가공업체들은 "국내 땅콩생산기반이 취약해 농산물유통공사가 수입을 담당하고 있으나 수입가격의 두 배가 넘는 가격을 업체들이 수매하고 있다"면서 "국내산과 수입산 혼용으로 인한 원산지 표시 위반이 빈번해 실수요자단체(낙화생가공조합)에도 수입기능을 부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골판지포장공업조합은 배추 포장재(골판지상자)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 지급비율 상향조정을 호소했다. 골판지 상자는 현재 800원으로 정부가 50%를 지원해주어 농가부담은 50%인 400원이다.

조합은 그러나 "세계 배추 소비 2위인 일본은 95%이상이 골판지 상자로 포장 유통되고 회수와 재활용율은 98%이상이다"며 "정부가 보조금 비율을 100%로 상향조정하거나 그물망(70%), 플라스틱상자(60%)수준 이상은 조정해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석회석가공조합은 "토양개량제인 석회질비료가 지난해부터 할당제에서 농민 신청에 따른 직접보조 방식으로 변경된 이후 신청이 줄어 업체들의 매출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미공급 지역이 늘어날 경우 토양 오염도 확산되는 환경피해를 감안, 2010년부터는 정부가 적정 소요량을 공급해 달라"고 요청했다.

퇴비제조업체모임인 유기비료조합은 "농협에 대한 퇴비납품시 품질에 상관없이 정부와 지자체의 포당 지원단가가 동일해 이의 차등화가 필요하다"며 "농축협 및 영농조합법인의 공동퇴비장에만 지원하는 시설비 및 운영비 지원을 일반 퇴비업체에도 적용해 달라"고 했다.

또한 연료용 우드펠릿(목재 칩) 사업이 확산되면서 축사의 바닥깔개와 퇴비제조 원료인 톱밥 수급에 어려움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숲 가꾸기' 부산물인 산림 폐목재를 톱밥으로 가공해 축산농가에 보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프랜차이즈협회에서는 농식품부의 외식프랜차이즈에 대한 지원이 미약하다고 지적하고 한식 프랜차이즈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과 관련 박람회, 시장개척단 파견 사업 확대 등을 요청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