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日정상회담, 무슨 얘기 오갈까

일본 아소 다로(麻生太郞 총리가 29, 30 양일간 중국을 방문해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잇따라 회담을 갖는다.

29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번 회담에서 아소 총리는 북한문제와 함께 에너지 절약기술 및 지구온난화 대책 등 환경분야와 경제 분야에 대한 협력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더불어 세계적으로 감염 피해가 확대하고 있는 돼지 인플루엔자(SI) 대책에 대해서도 서로 협력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아소 총리의 이번 방문은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참석차 중국을 찾았던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이며, 지난해 5월 양국 정상이 합의한 상호 방문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 이번 회담에서 아소 총리는 양국간 전략적 호혜관계 강화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에너지 절약기술 및 지구온난화 대책 등 환경분야와 관련해서는 중국과 일본의 환경 및 에너지 부문 협력 내용을 담은 '중·일 환경 에너지 절약 종합협력플랜'에 합의할 계획이다.

경제산업성은 이와 관련해 폐기물 처리 및 수질 정화사업에서의 양국 공동 프로젝트와 대기오염의 원인인 석탄화력발전소의 배기설비 개선사업을 위해 50억엔의 예산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인플루엔자 대책에 있어서는 양국이 서로 긴밀히 연락을 취하고, 피해가 확대됐을 경우의 방역체제 등에서 협력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내년 봄부터 양국에서 도입될 예정인 브로드밴드(고속대용량) 통신이 가능한 차세대 휴대전화와 관련, 일본은 중국의 인프라 구축에 협력해 주는 방안을 제시한다.

북한문제와 관련해서는 핵폐기물 처리와 6자회담 탈퇴의사를 밝힌 북한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는 한편 6자회담의 조기 재개를 위해 노력할 방침을 확인할 예정이다.

아소 총리는 또 중국 정부가 디지털 가전 등의 제품과 관련된 핵심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제도를 5월부터 시행키로 한데 대해 재고를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기술(IT) 보안제품 강제인증시스템'이라 불리는 이 제도는 중국에서 생산·판매하는 외국산 IT 제품에 대해 제품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설계도에 해당하는 '소스코드' 공개를 의무화한다는 것이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외국 기업이 소스코드 공개를 거부할 경우 해당 제품의 대 중국 수출은 물론 중국 내 생산과 판매도 전면 금지돼 주요국의 반발이 거세다.

아소 총리는 방중 기간 중에 중국 재계 인사들을 상대로 강연을 하고 일본이 자금을 공여해 건설한 제철공장을 방문한 후 30일 일본으로 돌아온다.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