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역 저축은행 "예금금리 인상없다"

리스크 관리, 고객 투자심리 위축 등 영향
자금 이탈 '미미'… 비과세 허용 등 필요


저축은행이 예금 금리를 잇따라 인상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ㆍ전남 저축은행들은 당분간 금리 인상 계획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상호저축은행 중앙회와 지역 저축은행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일부 저축은행들이 수신금리 인상을 통해 5%대 정기예금 상품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실제 현대스위스Ⅲ저축은행은 지난 21일부터 1년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기존 5.0%에서 5.2%로 0.2%포인트 올렸다. W저축은행도 같은 날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5.1%로 올렸으며, 삼화저축은행도 이 달 들어 금리를 4.9%로 0.2%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최근 증시가 살아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수신자금이 빠져나갈 것을 우려한 저축은행들이 이를 막기 위해 선제적인 조치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역 저축은행들은 이 같은 인상에 대해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 신용대출 등을 극도로 제한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예금금리를 올릴 경우 역마진 등 상당한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것.
 
실제로 지난 2월 광주ㆍ전남 저축은행들의 대출 잔액은 전월에 비해 307억원이 감소하는 등 두 달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만큼 이자 수익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광주ㆍ전남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자산 운용을 하는 것도 한몫하고 있다. 여전히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 수신 금리가 크게 이탈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지역 A저축은행 관계자는 "예금 잔액이 현재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영농자금이나 학자금 등 생활 자금 인출이 늘었기 때문이다"며 "비과세 혜택이 있는 신협 등은 예금이 꾸준하게 늘고 있는 등 은행권 수신은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B저축은행 관계자도 "지역 저축은행들은 올해 초까지 고금리 수신에 나선 바 있어 어느 정도 유동성 자금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영업 등을 보수적으로 하고 있어 당분간 예금 금리 인상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저축은행들이 지난해처럼 '제 살 깍기'식의 고금리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비과세 혜택 등 정부의 정책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는 주장도 제기됐다.
 
C저축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저축은행에 대한 비과세를 허용할 경우 예금리 인상과 대출금리 인하 등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며 "현 금융시장 상황을 고려한 정책 등으로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광남일보 배동민 기자 guggy@gwangnam.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