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홍준표, 김석기 '읍참마속' 초지일관 강행군

원희룡도 "대통령 사과해야".. 2월 임시국회 '난항예고'

용산참사 해결방법을 두고 한나라당이 휘청거리고 있다.

선 진상규명으로 당론을 잡은데 이어, 2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도 폭력시위와 화염병이 참사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나섰지만 사태가 간단치 않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2월 임시국회와 4월 재보선 선거를 앞두고 있어 시기적인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진상규명을 지켜보자는 당론에 대해 너무 안일하다는 지적이 일찌감치 제기돼 왔다.

민심을 읽는 예리한 눈을 가진 홍준표 원내대표가 선두에 있다.

사고 현장을 찾은 지난 20일부터 책임자 문책이 우선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민심이반이 심각해지기 전에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을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사퇴시켜야 한다는 것.

21일 당론이 선 진상규명으로 모아지고, 당 대책회의에서 배제되는 등 논란이 가중되는 와중에서도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홍 원내대표의 주장은 거침없이 이어졌다.

이 문제를 조기 수습하지 않으면 2월 입법전쟁에서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 측근은 "정치 일정상의 문제도 문제지만 불법성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정치가 존재하는 게 서민 마음을 위로하는 거 아니냐" 면서 "진상규명하고 법적인 시스템에 들어가서 사리 분별 하는 것도 일리가 있지만 정치가 가진 기본적 책무에 대해서 고민하고 마음 아파하는 것 같다" 고 말했다.

당내 한 중진 의원도 "진상규명이 먼저라지만 그럼 집권여당이 도대체 하는 일이 뭐가 있냐" 고 말했다.

당내 정치역학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소장파들은 김석기 사퇴론에 본격적으로 불을 지피고 나섰다.

원희룡 의원도 22일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진상규명이나 책임자 추궁이 동떨어진 문제가 아니고 진상규명을 통해 재발방지를 해야 하고 즉각 책임자 문책이 이뤄져야 한다" 면서 "진상규명이 이뤄지고 나면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도 불가피하겠다"고 밝혔다.

원 의원은 "국민의 눈물을 닦는 통합의 리더십이 있지 않고는 작은 사건도 커질 가능성이 크다" 면서 "국정 운영 기조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고 거듭 강조했다.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가 자진사퇴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나더라도 용산참사로 증폭된 민심 이반은 한나라당에 두고두고 부담이 될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습과정을 둘러싼 당내 이견도 고비고비마다 다시 대립각을 세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이래저래 2월 임시국회 일정이 순탄치 않음을 예고하고 있다.

양혁진 기자 y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