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대가' 촘스키 '챗GPT, 한참 멀었다'

인간과 AI 언어 학습 방법 비교

세계적 언어학자인 노엄 촘스키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언어 학습 모델 인공지능(AI) '챗GPT'에 대해 비판을 쏟아냈다.

촘스키 교수는 8일(현지시간) 다른 관련 학계 석학들과 함께 미 매체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글에서 AI의 한계를 지적하고 나섰다.

그는 "소위 AI의 혁명적 진보는 우려의 이유이자 동시에 낙관론의 이유가 되고 있다"며, 신경망 AI에 대해 "근본적으로 결함 있는 언어와 지식의 이해를 우리 기술에 포함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촘스키 교수 등은 챗GPT를 비롯한 언어 생성 모델이 인간 지능을 뛰어넘으려면 아직 한참 멀었다고 판단했다. 이들은 "(AI가 인간을 뛰어넘을) 그날은 언젠가 올지 모르지만, 아직 새벽조차 아니다"라며 "챗GPT 등 머신러닝 프로그램이 계속 AI 분야를 지배한다면 그런 날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노엄 촘스키 교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챗GPT와 같은 AI는 피라미터(매개변수)로 이뤄진 AI 모델이 방대한 언어 데이터를 학습, 훈련하면서 인간의 자연어를 분석한다. 촘스키 교수 등은 이런 기계학습 방식이 인간의 언어 학습 방식과 큰 차이가 있다고 봤다.

특히 대량의 데이터와 컴퓨터 자원을 필요로 하는 AI와 달리, 인간은 극히 적은 데이터로부터 무의식적으로 언어를 습득하고, 문법을 추론할 수 있다. 촘스키 교수는 이런 인간의 언어 학습 능력을 "놀라울 정도로 효율적이고 우아한 시스템"이라며 "사람이 복잡한 문장을 생성할 능력을 갖추는, 유전적으로 설치된 타고난 운영체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머신러닝 시스템의 예측은 항상 피상적이고 불확실"하다며 "진짜 지능은 사실 같지 않더라도 통찰력 있는 것들을 생각하고 표현할 능력에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촘스키 교수는 언어학계의 대가로, 인간이 성숙하면서 자연적으로 언어를 습득한다는 '언어 생득주의'의 대표 학자다. 그의 생득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유아기부터 복잡한 언어를 학습하고 발달시킬 능력을 유전적으로 타고나는데, 이런 능력을 '언어 습득 장치'라고 한다.

이슈2팀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