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파업 그 후…경영정상화 발목 잡는 세 가지

매각설 재점화
불투명한 수익성
파업 피해 배상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두달여 간 진행됐던 하청업체 노동자들의 파업이 일단락된 후 조업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경영이 정상적인 궤도에 오르기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매각과 수익성 회복, 파업피해 복구 등이 선결해야할 쟁점 3가지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3일 업계에 따르면 KDB산업은행은 조만간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중장기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르면 다음달 외부에 맡긴 대우조선해양 경영컨설팅 결과도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에게 당장 필요한 유동성 추가지원은 불가하다는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올초 무산됐던 매각설이 재점화했다. 그 중심에는 분리매각이 자리하고 있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이 "분리매각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들이 검토되고 있다"는 발언으로 불거졌다. 대우조선해양은 군함, 잠수함을 건조하는 방산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기술력 유출 우려로 해외 매각이 어렵다. 상선과 특수선부문을 분리하면 매수자를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뒷받침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소를 사업부문으로 나누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효율 측면에서도 부정적이란 의견도 나온다. 대우조선 구성원들도 분리매각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는 지난달 28일 분리매각설에 대해 "조선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대우조선 매각은 구성원 이해와 동의없이 절대 진행될 수 없다"며 반발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불투명한 수익성도 정상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3월 말 기준 대우조선해양의 부채비율은 500%를 넘어섰고 영업적자와 순손실을 동시 기록했다. 자본총액 1조6359억원, 부채총액 8조9424억원으로 부채비율이 546.6%에 달한다.

연이은 수주에 신조선가 상승, 여기에 후판가격이 안정화로 돌아서는 등 영향으로 조선업황이 나아지고 있지만 흑자전환은 내년에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러시아 제재로 쇄빙LNG선 계약 취소 등 불안 요소도 여전하다.

파업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복구 여부도 관건이다. 현재 파업을 주도한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조합원들에 대한 경찰의 조사가 진행중이며,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조만간 진행될 예정이다.

회사측은 하청지회 파업으로 1도크의 진수가 5주 가량 지연되면서 약 8000억원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다만 소송 진행과정에서 구체적인 피해 금액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데 결국 회사 손실이 불가피하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한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면서 "현재는 지연된 생산 공정을 만회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