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인플레 먹구름…생산자물가 25년만에 최고(종합)

9월 PPI 전년 동월대비 10.7% 상승, 연료류, 금속 및 비철금속 급등
중국 당국, 시장 모니터링 강화 등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 독려

[아시아경제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중국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석탄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생산자물가지수(PPI)가 1996년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하는 등 주요 경제 지표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세계의 공장 중국의 PPI 급등은 전 세계 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발생이라는 우려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당국도 이상 징후를 감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을 독려하는 등 경제성장률 방어에 적극 나서는 분위기다.

사진=중국 국가통계국 캡처

◆PPI 급등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 14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9월 중국 PPI가 전년 동월 대비 10.7%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승률은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6년 이후 25년 만에 최고다.

PPI가 급등했다는 것은 중국 제조 산업의 생산 단가가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 세계 공산품 등 제조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품목별로는 연료류가 30.3%나 급등, 석탄 및 원유 가격 급등을 실감케 했다. 이어 흑색금속류 23.3%, 비철금속 및 전선류 22.6%, 화학원료 20.7% 순으로 상승했다.

다행히 아직 PPI가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까지 전이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CPI는 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하는데 그쳤다. PPI와 CPI간 괴리가 더 커졌다는 점에서 조만간 CPI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中, 이상징후에 경제성장률 달성 독려 = 인민일보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가 최근 경제 상황 분석 심포지엄을 열고 중국 주요 산업에 대한 현황을 파악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발개위는 이에 앞서 경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경제 세미나를 개최, 문제점과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제안을 들었다고 인민일보는 전했다. 발개위는 중국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부처다. 전력난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물류 병목현상, 홍수 등 예기치 못한 변수가 발생하자 발개위가 직접 나서 경제 관련 및 유관 기관에 채찍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PPI에 앞서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에 비상등이 들어왔다. 국가통계국이 공개한 지난달 PMI는 49.6이다. 제조업 PMI가 기준선인 50 이하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2월 35.7 이후 19개월 만이다. 기준선 이하는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전력난으로 제조 기업들의 조업이 단축되면서 4분기 경제 성장률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우려감이 중국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판뤄잉 중국은행 연구소 연구원은 "3분기 이후 경제 관련 지표가 모두 하락하고 있다"면서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거시적 통제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진단했다.

◆中, 재정 및 금융 정책 도입 불가피 = 중국 경제 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해 보면 중국 경제가 3분기까지는 당초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지난달 중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8.1% 늘어난 3057억4000만달러(한화 366조원)을 기록했다. 전력난이 9월 중순 이후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9월 수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4분기다. 석탄 부족 현상이 단기간 해소될 가능성이 없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제 예측 기관들은 속속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낮추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8.2%에서 7.8%로, 일본 노무라증권은 8.2%에서 7.7%로, 피치는 8.5%에서 8.1%로 각각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중국 정부가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라는 금융정책 카드를 꺼낼 가능성도 커졌다. 인민은행은 지난 7월에도 지준율을 0.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지준율 인하는 중국 금융기관들의 대출 여력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왕즈강 중국재정과학원 거시경제연구센터 연구원은 "연간 경제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국은 4분기에 전력질주해야 한다"면서 "중소기업의 비용 압박을 경감하는 재정 지원 정책과 지방 특수채 발행을 통한 안정적인 투자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asch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as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