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식량난 인정…'인민 식량 형편 긴장해지고 있다'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공식 석상에서 식량난을 인정해 주목된다.

북한의 식량 사정이 어려워졌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향후 우리 정부와 미국 행정부가 식량 지원 등 인도적인 지원을 계기로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16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전날 열린 당 전원회의에서 “농업부문에서 지난해의 태풍피해로 알곡 생산계획을 미달한 것으로 하여 현재 인민들의 식량형편이 긴장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사전에 따르면 '긴장하다'는 '일을 순조롭게 넘기기 어려울 정도로 바듯하게 되는 것 또는 그러한 상태'를 뜻한다.

김 총비서가 공개적인 회의 석상에서 식량난을 인정하고 북한매체가 이를 그대로 보도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현재 식량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을 방증한다.

지난해 태풍과 장마 피해가 주요 곡물 생산지인 황해남 북도에 집중된데다 코로나19로 국경이 봉쇄되면서 농자재 수입이나 식량 원조도 종전보다 어려워진 탓이다.

김 총비서는 “이번 전원회의에서 그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농사를 잘 짓는 것은 현시기 우리 당과 국가가 최중대시하고 최우선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전투적 과업”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유엔 세계식량농업기구(FAO)와 농촌진흥청이 내놓은 지난해 북한의 식량 생산량 지표는 모두 '생산량 감소'를 보이고 있다.

FAO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의 식량 생산량 추산치를 총 556만1000t으로 예측했다. 쌀에 한정하면 211만3000t이고, 도정을 거치면 139만5000t으로 추정했다.

FAO는 식량 부족분을 85만8000t으로 추산하면서 수입이나 원조를 통해 해결되지 않으면 올해 8∼10월이 '혹독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농촌진흥청이 추산한 지난해 북한의 쌀 생산량은 이보다 더 적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보고서에는 쌀 생산량이 202만t으로, 2019년에 비해 9.8%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가 조사한 북한의 쌀값 동향을 봐도 최근 들어 쌀값이 가파르게 오르는 추세다.

매체는 지난 8일 기준 지역별 1㎏당 쌀 가격이 평양 5000원, 신의주 4900원, 혜산 4800원이라고 전했다.

지난 3월 초만 해도 쌀 가격은 평양 3700원, 신의주 3900원, 혜산 4050원 등이었는데, 불과 석 달 만에 쌀값이 1㎏당 1000원이 넘게 올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북한경제리뷰 보고서는 북한의 올해 식량 부족분이 70만∼100만t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만한 부족량은 북한이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교가에선 김 총비서가 외교 문제 보다 식량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신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장 눈앞의 식량난부터 해소하지 않으면 지난 1월 8차 당대회에서 밝힌 자력갱생에 의한 경제발전 노선의 실행은 시작부터 불가능하다.

식량난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자칫 아사자가 속출했던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상황이 재현돼 민심 이반이 커지고 나아가 체제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