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3년간 꼬리무는 수사에 정상 경영 어렵다

잇단 수사에 압수수색만 27차례
미래 불확실성 커져 임직원 위축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삼성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 미래전략실 경영진 및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등의 지속되는 수사에 발이 묶이고 있다. 이 부회장의 파기환송심 결정에 따른 재판 부담으로 오너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삼성은 투자·고용·미래 비전 추진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임직원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수사, 노조 수사 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이 부회장 재판 의 파기 환송으로 인해 사기가 바닥으로 떨어졌다. 삼성전자 한 관계자는 “외부에 알려진 것보다 내부의 위기감은 훨씬 크다”며 며 “전의를 상실했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라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삼성과 이 부회장은 2016년부터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을 비롯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삼성전자 노조 와해, 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 이른바 ‘다스 소송비용 대납’ 등 여러 혐의를 받으며 검찰로 부터 수년째 수사·재판을 받고 있다. 3년째 삼성이 머리 부터 발끝까지 털리고 있는 셈이다.

2016년 11월 삼성전자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2017년 2월 이 부회장이 구속됐다. 구속 상태로 같은 해 8월 1심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아 수감 생활을 하다 지난해 2월 항소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으로 형이 감경, 석방됐다.

그 사이 삼성은 압수수색만 그간 27차례 받았고, 31명의 임직원이 기소돼 매주 1~2차례씩 재판을 받고 있다. 최고경영진과 임직원 모두가 위축돼 위기 돌파를 위한 동력이 모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부회장의 재판이 파기환송으로 인해 실형 선고가 가능해져 오너 공백 리스크가 다시 불거졌다는 점이다. 삼성이 오너리스크를 말끔히 털어내지 못하면서 현재, 미래 경영 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의 보복성 수출규제 등으로 사업에 위기가 찾아오자 이 부회장이 직접 일본으로 건너가 협력사들을 만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다시 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재판의 장기화로 이같은 해외 거래선들과의 접촉도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 2017년 이 부회장이 구속됐던 기간 동안 삼성은 대규모 투자와 M&A에 대한 결단을 쉽사리 내지 못했으며 이전부터 검토해 왔던 평택 제2 생산라인 투자도 지지부진했다. 이 기간 삼성전자의 주요 경영 사안을 결정하는 경영위원회도 거의 열리지 못했다.

삼성은 총수 부재 리스크 영향으로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아직까지 대형 M&A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의 연간 유형자산 투자액은 2017년 42조7922억원에서 지난해 29조5564억원으로, 30.9%가 감소했다. 올 상반기도 전년 동기 대비 7조원 이상 줄어든 10조6850억원에 그쳤다.

대규모 투자 계획 역시 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부회장 재판이 또 미궁 속으로 빠지면서 수백조가 투입되는 반도체, 4차산업 투자계획과 관련된 과감한 결단에 제약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지난해 2월 석방 이후 이 부회장은 현장 경영을 강화하며 내부 결속을 다지고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데 주력한 바 있다. 지난해 8월에는 5G(5세대) 이동통신과 AI, IoT, 반도체 등을 미래 먹거리로 선정하고 3년간 180조원을 투자해 4차산업을 선도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올해 4월에는 시스템반도체에 133조원을 투자해 2030년까지 세계 1위에 오르겠다는 비메모리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했다.

하지만 삼성을 둘러싼 글로벌 경영환경은 어둡다.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과 스마트폰 수요 정체로 삼성전자 경영 실적은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미·중 무역분쟁 악화와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라는 대외 악재 까지 겹치면서 삼성은 ‘퍼펙트 스톰’에 처하고 있다.

이에따라 재계에선 삼성전자의 글로벌 1위, 초격차 전략에 막대한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삼성전자가 투자와 M&A시 제때 경영 판단을 하지 못한다면 경쟁력을 잃고 2류, 3류 기업으로 한순간에 몰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삼성에도 전문경영인 체제가 갖춰져 있지만, 이 부회장의 상징성과 무게감을 무시할수 없다”며 “전문경영인이 있어도 수십조원이 들어가는 대형 M&A나 투자를 쉽게 결정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파기환송 2심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지만 삼성은 최악의 경우 총수 부재 상황에 처할 수도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enter><div class="slide_frame"><input type="hidden" id="slideIframeId" value="2017011914534703074A">
</center>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