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후행주기 분야 육성 본격시동 추진…정부지원 의지 강조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석탄회관에서 '제3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개최,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의 기자재 해외진출 사례 소개와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후속조치 현황 및 정부지원 사항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원전산업은 설계·건설 등 선행주기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치우쳐 있어 해체·폐기물관리 등 후행주기 산업기반은 부족하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가동 중인 원전 453기 중 30년 이상된 원전의 비중이 68%에 이르러 노후 원전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12기에 달해 후행주기 산업역량 육성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은 고리1·2·3·4, 월성1·2·3·4, 한빛1·2, 한울1·2 등이다.

이번 민관협의회 행사는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 국내기업의 기자재 수출과 같은 우수사례를 적극적으로 소개해 기존의 선행주기 역량을 토대로 새로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잠재 역량과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고, 원전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다. 또한 지난 4월 발표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의 후속조치 점검과 함께, 원전기업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원전해체 대비 조기발주 등 정부지원 계획 등에 대해서도 점검·확인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원전 후행주기 분야 우수사례로 소개된 세아베스틸과 두산중공업(두산밥콕)의 사례는 해체·폐기물 관리 등에서 사업수행 실적(Track-Record)이 부족하고 아직 국내 후행주기 산업이 본격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국내기업의 기술과 역량이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향후 전세계적으로 본격화될 원전해체·폐기물관리 등 원전 후행주기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 관련 기관들은 고리 1호기 해체가 2022년 이후로 예정돼 있어 아직 원전해체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내외 해체시장 확대에 대비해 초기 시장을 창출하고 산업 생태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R&D 자금 지원, 해체물량 조기발주 등을 추진할 계획임을 다시 확인했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이날 발표한 사례들을 통해 우리 원전기업의 잠재역량과 성장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기업들이 원전해체, 방폐물 관리 등 후행주기 분야의 다변화된 新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를 희망한다"며 "정부도 오늘 발표한 사례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R&D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