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자율주행 택시 나왔는데…한국은 택시 '합승' 논의

웨이모의 자율주행택시 '웨이모 원'(사진=웨이모 유튜브 캡처).

[아시아경제 조한울 기자] 자율주행차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구글의 계열사인 웨이모는 벌써 자율주행 택시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반면 한국의 모빌리티 혁신은 더디다. 승차공유(카풀)를 논의하는가 싶더니 택시를 통한 카풀, 즉 합승으로 화두가 옮겨갔다.

◆구글, 자율주행택시 상용화 이어 대량생산까지= 구글의 자율주행차 계열사인 웨이모는 지난 달 미국 미시건주에 자율주행차 생산공장 설립 허가를 받았다. 이 공장은 자율주행 기술 4단계 자동차를 대량생산하는 세계 첫 공장이 될 예정이다. 미국 자동차공학회(SAE)의 분류에 따르면 자율주행 기술 4단계를 갖춘 차량은 운전자의 제어가 없이 스스로 주행이 가능하다. 다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운전자가 탑승해야 한다.

웨이모는 앞으로 공장에서 순수전기차인 재규어 I-페이스와 크라이슬러의 하이브리드 승합차 퍼시피카의 자율주행차 버전을 생산할 계획이다. 웨이모는 현재 피아트 크라이슬러, 재규어 랜드로버와 차량 수만대를 구입하는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재규어 I-페이스 차량 2만대와 피아트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6만2000대가 차량호출 서비스에 활용될 것이라고 회사는 밝힌 바 있다.

웨이모는 이미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자율주행 택시 상용 서비스도 진행하고 있다. 현재는 훈련된 운전자가 탑승해 만일의 상황을 대비하지만, 올해에는 운전자를 태우지 않고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 설립될 공장에서 대량생산된 자율주행차들은 웨이모의 서비스를 확대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 시대가 곧 열리고, 이동의 개념이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지난해 기획재정부 민간 혁신성장본부장을 맡았던 이재웅 쏘카 대표는 기재부 주최 행사에서 "2030년이면 우리나라 택시가 모두 자율주행택시로 바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미래는 생각보다 가까이 있고, 혁신을 하려 하지 않아도 혁신을 당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여러 사회적 갈등이 유발되고 있지만, 우버인지 카카오 카풀인지 타다인지를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며 "자동차 제조업체들, 부품업체들, 택시·버스 운수업체들, 보험 등이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논의해야 될 때"라고 했다.

◆혁신 힘든 국내 모빌리티 업계= 이 대표의 말처럼 기술은 빠르게 발전한다. 사회의 대처는 그에 못 미친다. 한국은 특히 그렇다. 국내에선 이동 혁신의 첫 단계인 카풀마저도 발을 떼기 어렵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해 10월부터 기사회원 모집을 시작하고, 카풀 서비스를 하겠다고 했지만 아직도 시작하지 못했다. 택시업계가 파업을 3회 진행하는 등 전면적으로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시범 서비스마저도 중단했다.

논란 끝에 정부·여당 주도로 사회적 대타협기구가 열렸다. 논의는 지지부진하다. 당초 카풀을 비롯한 새로운 이동 서비스를 위한 협의 기구인 듯 보였지만, 논의는 택시 중심으로 우선 흘러가고 있다. 대타협기구 위원장인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구 출범 후 "자가용이 아닌 택시와 플랫폼 기술을 결합해 택시산업 발전은 물론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해 국민에게 편리한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역시 지난 달 31일 청와대 청원에 "플랫폼 기술을 택시와 접목시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택시의 가동률을 높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답했다.

우버는 카풀 사업을 시작으로 현재는 자율주행차 연구까지 선도하고 있다. 카풀 등 여러 이동 서비스를 하며 축적한 데이터가 혁신 동력이 된 셈이다. 중국의 카풀 업체 디디추싱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IT업체들도 서둘러 연구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한 모빌리티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경쟁력을 갖춘 이동 플랫폼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결국 외국 플랫폼에 국내 시장이 잠식당할 것"이라며 "플랫폼 산업의 특성상 후발주자가 격차를 좁히기 어려운 만큼 국내에서도 빨리 혁신 서비스가 나올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조한울 기자 hanul0023@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조한울 기자 hanul002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