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으로 간 ‘감귤특사’…김정은 답방 물꼬 틀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북·미 간 교착 상태로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김정은 답방’ 카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우리 정부는 최근 대규모 을 답례 형식으로 북한에 보내면서 자연스럽게 답방 성사 메시지를 보낸 상태다.12일 남북 관계에 정통한 외교소식통은 “우리 정부가 물밑으로 북측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 추진을 얘기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북한 입장에서는 김 위원장이 또 한번 국제무대에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동시에 내년초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교두보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교적 실익이 크다고 본다”고 분석했다.북·미는 지난 8일(뉴욕 현지시간) 된 이후 지지부진한 상태다. 북한이 원하는 대북제재 완화에 대해 미국은 비핵화 이행을 우선적으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 쪽도 양보하거나 밀리면 안 된다는 입장이기에 고위급 회담 재개 또는 실무급 회담은 열릴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오히려 양 쪽 모두 한 템포 쉬면서 대외 외교에 집중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4~6일 평양을 방문한 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을 전통적 우방관계를 재확인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9~11일(현지시간)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의 에 참석해 다자 외교에 힘을 쏟았다.외교에서 중요한 건 ‘타이밍’과 ‘명분’이다. 다시 한번 북·미 사이에서 중재자가 절실한 시점이다. 우리 정부는 11일 평양정상회담 당시 북측의 송이버섯 선물에 대한 답례로 제주 감귤 200t을 .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남측 물자의 대규모 대북 반출이다. 이번 귤 지원은 5·24조치나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미국의 독자 제재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대북물자 제공이라는 점에서 한·미 외교 당국 간 조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특히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서호 청와대 통일정책비서관이 수송기를 함께 타고 평양으로 가 선물을 북측에 인도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단순히 ‘과일 외교’로 끝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북측에서는 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 이들을 맞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해 “남북이 합의한 대로 예정대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남북 관계와 북미 관계를 견인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명분도 충분하다. 남·북 양 정상이 서명한 ‘’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고 돼 있다. 문 대통령은 합의서 서명 뒤 회견에서 ‘가까운 시일’과 관련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남북정상회담은 우리 대통령이 평양으로 건너가거나 중립지역인 판문점에서 열렸다. 김 위원장의 방남이 성사될 경우 그 외교적 의미는 크다.정부의 ‘김정은 답방’ 의지에 해당 지자체도 나섰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10일 한라산 정상에서 김 위원장 답방 시 한라산을 방문할 경우를 대비한 사항들을 점검했다. 원 지사는 “한라산은 보존 차원에서 백두산처럼 시설을 만들지 못했으니 걸어서 올라오기는 쉽지 않고 불가능한 상태”라며 “(김 위원장을 태운) 헬기 착륙 방안에 대해 실무적으로 두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발언은 유네스코 자연유산 훼손 논란을 불러오며 부정적 영향을 끼친 상황이다.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