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목함지뢰 무더기 남하 가능성… 전방 초비상(종합)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군사분계선(DML) 남쪽에 있는 지뢰지대가 여의도 면적의 40배에 달하고, 지뢰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200년 가량 걸릴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4일 육군 관계자에 따르면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 남측지역과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북ㆍ남측의 전체 지뢰지대를 제거하려면 전방사단의 11개 공병대대를 모두 투입해도 지뢰제거에 약 200년에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집중호우에 따른 전방지역의 지뢰 발견 수는 최근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2015년에는 50여 발에 불과했지만 2016년 130여 발, 지난해에는 140여 발이 발견됐다. 올해 6월기준 전방지역에서 발견된 지뢰만 100여 발이 넘어서 최대 200여 발이상의 지뢰가 우리 측으로 흘러왔을 것으로 군당국은 관측하고 있다. 북한의 목함지뢰가 떠내려올 가능성도 크다. 지난해 7월에도 집중호우로 인해 북한의 목함지뢰가 강화군 서도면 아차도까지 떠내려왔었다.집중호우로 북한의 전방부대가 철책 긴급 보수작업에 돌입한 가운데 서부전선의 비무장지대(DMZ) 유해발굴사업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이들 지뢰는 대부분 남북이 DMZ 유해공동발굴 후보지로 거론한 곳이다. 군은 DMZ 유해공동발굴 후보지로 파주, 연천, 철원, 양구, 고성 등 5곳을 검토해왔다. 남북은 팩스 등을 주고받으며 DMZ 남북 유해공동발굴 후보지를 3~4곳으로 압축할 예정이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추천한 지역은 백마고지 전투로 알려진 철원을 비롯해 파주(벙커고지 전투), 연천(베티고지 전투), 양구(가칠봉 전투), 고성(월비산 전투) 등이다.문제는 목함지뢰를 탐지하고 제거할 장비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현재 개발 중인 지뢰제거용 장애물개척전차는 빨라야 2020년에야 전력화가 가능하다. 군이 보유한 지뢰탐지기도 1995년에 도입해 사용연한(8년)이 넘었고 금속지뢰만 탐지할 수 있다. 목함지뢰 등 비금속지뢰는 땅속 5~10cm만 묻혀 있어도 탐지가 사실상 불가능하다.육군 관계자는 "공동유해발굴 등 판문점 선언에 명시된 DMZ 평화적 이용과 관련한남북 공동사업의 본격화에 대비해 육군본부 내 '지뢰제거작전센터'(가칭)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육군이 구상하는 지뢰제거작전센터는 국방부와 연계해 지뢰제거 관련 계획을 수립ㆍ조정ㆍ통제하면서 지뢰제거 임무를 수행하는 전담조직이다.이 관계자는 또 "지뢰제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무인 원격 지뢰제거체계를 도입하고, 드론을 활용한 신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며 "개발 중인 장애물개척전차의 조기 전력화와 투입되는 건설장비의 방탄화도 필요하다"고 말했다.<center><div class="slide_frame"><input type="hidden" id="slideIframeId" value="2016051306531820480A">
</center>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